2023 신약전서
9월 25일~10월 1일. 갈라디아서: “성령을 따라 행하라”


“9월 25일~10월 1일. 갈라디아서: ‘성령을 따라 행하라’”, 『와서 나를 따르라—초등회: 2023 신약전서』(2022)

“9월 25일~10월 1일. 갈라디아서”, 『와서 나를 따르라—초등회: 2023』

이미지
감옥에 갇힌 바울에게 나타나신 그리스도

부활하신 구주께서는 감옥에 갇힌 바울을 방문하셨다.(사도행전 23:11 참조) 예수 그리스도는 우리를 “종의 멍에”에서 자유롭게 하실 수 있다.(갈라디아서 5:1)

9월 25일~10월 1일

갈라디아서

“성령을 따라 행하라”

갈라디아서를 읽으면서 여러분은 반원들이 어떤 것을 배워야 한다는 느낌이 들었는가?

이미지
나누기 아이콘

나누도록 권유한다

어린이들이 최근에 가정이나 교회에서 복음을 주제로 토론하며 배웠던 것을 그려 보도록 몇 분간 시간을 준다. 반원들에게 각 그림이 무엇을 나타내는지 이야기해 보게 한다.

이미지
가르치기 아이콘

교리를 가르친다: 나이가 어린 아이들

갈라디아서 5:22~23

성신은 내가 사랑과 기쁨, 평안을 느끼도록 도와주세요.

어린아이들은 성령의 열매를 인식할 수 있다. 이것은 그들이 앞으로 살아가면서 계속해서 성신의 영향력을 구하는 데 밑거름이 될 것이다.

활동 아이디어

  • 몇 가지 과일 그림을 전시하거나 보여 준다. 어린이들에게 각 과일이 어떤 맛이 나는지 묘사해 보라고 한다. 과일의 맛이 제각기 다른 것처럼, 우리는 성신을 다양한 방식으로 느낄 수 있다. 예를 들어, 성신은 사랑으로 느껴지기도 하고, 평안으로 느껴지기도 한다. 여러분이 삶에서 성신을 느꼈던 방식들을 설명해 주고, 어린이들도 성신이 어떤 느낌인지 말해 보게 한다.

이미지
나무에 열린 사과

나이에 상관없이 모든 어린이는 “성령의 열매”를 경험할 수 있다.

  • 어린이들과 함께 갈라디아서 5장 22~23절을 읽고, 그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단어가 있으면 설명해 준다. 각 어린이에게 이 성구에 나오는 성령의 열매 중 한 가지를 선택하게 하고 그것을 경험했던 때를 떠올려 보게 한다. 그 경험을 간략하게 그림으로 그려 보게 한다.

갈라디아서 6:2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내가 어려움에 처한 사람들을 돕길 바라세요.

갈라디아서 6장 2절에 담긴 권고는 모사이야서 18장 8절에서 앨마가 침례를 앞둔 사람들에게 전한 가르침과 비슷하다. 이 기회를 활용해 어린이들이 침례 성약을 맺을 준비를 하도록 돕는다.

활동 아이디어

  • 침례를 받는 어린이의 사진을 보여 준다.(예: 『복음 그림책』, 104번) 사진에 있는 어린이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물어본다. 우리는 침례를 받을 때 성약, 즉 약속을 맺는다고 설명한다. 갈라디아서 6장 2절이나 모사이야서 18장 8절을 읽고, 어린이들이 그 약속 중 한 가지, 곧 서로의 짐을 짊어지는 것에 대해 배우도록 도와준다. 어린이들에게 짐을 지고 있는 사람들을 어떻게 도와줄 수 있는지 그림으로 그려 보라고 한다.

  • 갈라디아서 6장 2절에 있는 “너희가 짐을 서로 지라”라는 구절을 읽어 준다. 이 말의 의미를 명확히 알려 주기 위해 어린이 한 명에게 무거운 물건을 옮겨 보라고 한다. 그런 다음, 그 어린이가 물건을 옮길 때 도와줄 사람이 있는지 물어본다. 우리가 짐처럼 느낄 수 있는 것들은 많다고 설명한다. 아프거나 슬프거나 외로운 것도 짐이 될 수 있다. 이런 짐을 진 사람을 우리는 어떻게 도울 수 있을까?

갈라디아서 6:7~9

선한 것이든 악한 것이든 우리가 한 행동에는 결과가 따라요.

갈라디아서 6장 7~9절에는 우리가 심는 대로 거둔다는 가르침이 나온다. 이 말씀을 통해 어린이들에게 자신이 한 행동의 결과를 생각해 보도록 가르칠 수 있다.

활동 아이디어

  • 씨앗과 채소를 하나씩 놓아둔다. 어린이들에게 갈라디아서 6장 7~9절을 읽어 준다. 심든 또는 심는이라는 말이 나오면 씨앗을 심는 흉내를 내 보고, 거두리라라는 말이 나오면 채소를 따는 흉내를 내 보라고 한다.

  • 어린이들에게 몇 가지 채소를 보여 주고, 각각의 씨앗을 찾아보게 한다. 씨앗을 통에 넣고 어린이들이 돌아가면서 하나씩 고른 다음, 그것을 심으면 어떤 채소가 될지 이야기해 보자고 한다. 어떤 씨앗을 심는가에 따라 어떤 채소가 자라는지가 결정되는 것처럼, 어떤 선택을 하는가에 따라 결과와 더불어 최후에 얻게 될 축복도 결정된다는 점을 어린이들이 이해하도록 돕는다.

  • 테이프로 바닥에 선을 만든다. 선 양쪽 끝에 웃는 얼굴과 슬픈 얼굴을 놓는다. 어린이 한 명에게 테이프 선 중간에 서게 하고, 나머지 어린이들에게는 행복한 결과나 슬픈 결과를 가져올 여러 가지 선택들을 말해 보라고 한다. 선 중간에 선 어린이는 다른 어린이들이 말하는 선택을 듣고 웃는 얼굴 혹은 슬픈 얼굴 쪽으로 옮겨 가도록 한다. 다른 어린이들도 돌아가면서 선 위에 서 보게 하며 이 활동을 몇 차례 반복한다.

이미지
가르치기 아이콘

교리를 가르친다: 나이가 많은 아이들

갈라디아서 3:26~28

우리는 침례를 받음으로써 “그리스도 … 안에서 하나”가 됩니다.

바울은 갈라디아 성도들에게 그들이 침례를 받으면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가 된다고 가르쳤다. 어린이들이 갈라디아서 3장 26~28절에서 언급된 단합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도록 어떻게 도울 수 있을까?

활동 아이디어

  • “침례를 받으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라는 질문을 염두에 두고 갈라디아서 3장 26~28절을 읽어 보자고 한다. “그리스도로 옷 입었”다 또는 “그리스도 … 안에서 하나”라는 문구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이 문구들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 “그리스도로 옷 입”는다는 것은 그분의 이름을 받드는 것과 어떤 점에서 유사한가?(교리와 성약 20:75~79 참조) 우리가 그분의 이름을 받들고 있음을 사람들에게 어떻게 나타내 보일 수 있을까?

  • 다 함께 갈라디아서 3장 28절을 읽고, 바울의 시대에 침례를 받았던 사람들은 자신들을 어떤 방식으로 규정했는지 찾아본다. 오늘날 어린이들이 자신을 누구라고 소개하는지 말해 보라고 한다. 바울은 우리가 침례를 받고 나면 서로를 어떻게 바라보아야 한다고 가르치고 있는가?

갈라디아서 5:16, 22~23

“성령을 따라 행”한다면, 나는 “성령의 열매”를 얻게 될 것입니다.

우리는 침례와 성신의 은사를 받을 때 삶에서 더 많은 성령의 열매를 얻을 수 있다. 어린이들이 자신의 삶에서 성령의 열매를 인식하도록 어떻게 도울 것인가?

활동 아이디어

  • 모든 어린이에게 종이를 한 장씩 나누어 준다.(종이를 과일 모양으로 잘라 놓을 수도 있다.) 그런 후 갈라디아서 5장 22~23절에서 “성령의 열매”를 하나씩 찾아보라고 한다. 종이의 한쪽 면에는 성령의 열매를 한 가지 쓰고, 다른 쪽 면에는 그 단어와 의미가 반대되는 단어를 써 보자고 한다.(어린이들이 익숙하지 않은 단어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게 도와준다.) 각자 적은 열매에 대해 반원들에게 이야기해 주라고 한다. 성신이 항상 우리와 함께하시도록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 어린이들에게 갈라디아서 5장 22~23절에서 성령의 열매에 대해 읽어 보고, 그런 열매를 느껴 보았던 경험을 글로 쓰거나 그림으로 그려 보라고 한다. 그런 다음, 자신의 글 또는 그림을 다른 어린이에게 소개해 보게 한다. 열매는 왜 영이 우리에게 영향력을 미치는 방식을 이해하게 해 주는 좋은 상징이 되는가?

갈라디아서 6:7~9

선한 행동이든 악한 행동이든 결과가 따르기 마련입니다.

행동의 결과는 즉시 오기도 하고, “때가 이르”러서야 오기도 한다는 점을 어린이들이 이해하도록 돕는다.(9절)

활동 아이디어

  • 갈라디아서 6장 7~9절을 함께 읽는다. 행동(우리가 “심는” 씨앗)과 결과(우리가 “거두”는 열매)의 목록을 준다. 어린이들에게 행동과 결과를 짝지어 보라고 한다.

  • 어린이들에게 하나님 아버지로부터 받고자 하는 축복들을 나열해 보자고 한다. 이러한 축복을 “거두”기 위해 어떤 “씨”를 심어야 할지 생각해 보도록 도와준다.

이미지
배우기 아이콘

가정에서 학습하도록 격려한다

오늘 배운 진리를 일상생활에 적용할 방법을 찾아보도록 어린이들을 도와준다. 예를 들어, 이번 주에 선한 결정을 내렸을 때 어떤 선한 결과, 또는 “열매”를 얻게 되는지 관찰해 보라고 한다.

더 나은 가르침을 위하여

어린이들의 나이에 맞게 활동을 조정한다. 어린이들에게 참여할 기회를 주되, 각자의 참여 능력은 나이와 성숙도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기억한다. 나이가 어린 아이들은 더 많은 인도와 지시가 필요할 수도 있다. 아이들은 자라면서 참여하는 비중이 커지고 더 능숙하게 자기 생각을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구주께서 보여 주신 방법으로 가르침』, 25~26쪽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