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신약전서
12월 4일~10일. 요한계시록 1~5장: “어린 양에게 … 영광과 권능을 세세토록 돌릴지어다”


“12월 4일~10일. 요한계시록 1~5장: ‘어린 양에게 … 영광과 권능을 세세토록 돌릴지어다’”, 『와서 나를 따르라—초등회: 2023 신약전서』(2022)

“12월 4일~10일. 요한계시록 1~5장”, 『와서 나를 따르라—초등회: 2023』

이미지
풀밭에 앉아 있는 어린 양

12월 4일~10일

요한계시록 1~5장

“어린 양에게 … 영광과 권능을 세세토록 돌릴지어다”

요한계시록에는 어린이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상징들이 나오긴 하지만, 한편으로 이 기록은 아름답고 간결하며 중요한 교리들을 담고 있다.

이미지
나누기 아이콘

나누도록 권유한다

시현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보았다면 어떤 기분이 들지 이야기해 보자고 한다. 어린이들에게 요한계시록에 나오는 예수님에 대한 요한의 시현을 아는 대로 이야기해 보라고 한다.

이미지
가르치기 아이콘

교리를 가르친다: 나이가 어린 아이들

요한계시록 1:20

나는 구주의 빛을 발할 수 있어요.

요한계시록 1장 20절에서 구주께서는 당신의 교회를 촛대에 비유하셨다. 어린이들이 구주의 가르침대로 생활할 때 그분의 빛을 발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도록 돕는다.

활동 아이디어

  • 어린이들에게 전구, 양초, 태양과 같은 여러 가지 빛의 공급원을 그림으로 보여 준다. “네가 본 … 일곱 촛대는 일곱 교회니라”라는 문장을 읽으면서(요한계시록 1:20) 어린이들에게 이 구절에서 언급된 빛이 그려진 그림을 가리켜 보라고 한다. 우리는 예수님의 교회 회원으로서 어떻게 촛불과 같은 존재가 될 수 있는지 이야기해 보게 한다. 예를 들어 우리는 다른 사람에게 착한 일을 할 수 있다.

  • 나더러 세상 빛 되라”(『어린이 노래책』, 38~39쪽)처럼 다른 사람에게 빛이 되어 주는 것에 관한 노래를 한 곡 부른다. 어린이들이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대로 생활하고 주변 사람들에게 빛이 되어 주었던 방법들을 이야기해 준다. 여러분이 다른 사람에게 빛이 되어 주었을 때 하나님 아버지와 예수 그리스도가 어떻게 더 가깝게 느껴졌는지 말해 준다.

요한계시록 3:20

나는 예수 그리스도를 내 삶에 초대할 수 있어요.

어린이들은 예수께서 문밖에 서서 문을 두드리시는 비유를 통해 그분께서 그들 곁에 있고자 하신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다.

활동 아이디어

  • 요한계시록 3장 20절을 읽는 동안, 『와서 나를 따르라—개인 및 가족』 교재의 이번 주 개요에 나오는 것과 같이 문 앞에 서 계시는 구주의 그림을 보여 준다. 예수께서 어린이들이 사는 집의 문을 두드리신다고 상상해 보자고 한다. 그들은 어떻게 할 것인지 이야기해 보라고 한다.

  • 보고 싶었던 사람의 방문을 기다렸던 경험이 있으면 이야기해 보자고 한다. 그 사람이 문을 두드리기를 기다리면서 어떤 기분을 느꼈는가? 만일 우리가 그 사람을 집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한다면 어떻게 될까? 요한계시록 3장 20절을 읽어 주고, 어린이들이 돌아가면서 예수님 그림을 들고 문을 두드리는 시늉을 해 보게 한다. 다른 반원들은 문을 여는 시늉을 한다. 비록 예수님을 눈으로 보지는 못하지만 그분이 우리 곁에 가까이 계실 수 있도록 우리는 어떻게 할 수 있을까?

요한계시록 5:1~10

예수 그리스도는 나의 구주가 되실 수 있는 유일한 분이세요.

요한은 시현을 통해 오직 예수 그리스도만이(어린 양으로 상징됨) 우리의 구주가 되어 하나님 아버지의 계획(인봉된 두루마리로 상징됨)을 성취하실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활동 아이디어

  • 수업 전에 종이나 끈으로 『복음 그림책』을 포장한다. 요한계시록 5장 1~10절에 나오는 핵심 문구들을 활용하여 요한이 본 시현을 설명해 준다. 어린이들에게 포장해 둔 책을 보여 주고, 이 책을 펼쳐 볼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교사가 교실에 숨겨 놓은 예수님의 그림을 찾는 것이라고 말한다. 어린이들이 그림을 찾으면, 책을 펼쳐서 예수 그리스도의 속죄 덕분에 가능해진 축복들을 나타내는 그림 몇 가지를 보여 준다.(예를 들어 성전, 침례, 가족 등을 보여 줄 수 있다) 구주께서는 그러한 일들을 가능하게 하신 유일한 분이라고 간증한다.

  • 요한계시록 5장 1~10절에 묘사된 시현을 요약하여 들려준다. 시현의 각 부분에서 요한과 다른 이들이 느꼈을 기분을 어린이들에게 연극으로 나타내 보자고 한다. 예를 들어, 아무도 두루마리를 열 수 없었을 때 크게 우는 시늉을 하거나, 구주께서 두루마리를 여셨을 때 환호하는 연기를 할 수 있다.

이미지
가르치기 아이콘

교리를 가르친다: 나이가 많은 아이들

요한계시록 3:5, 12~21

구주의 복음에 헌신한다면, 하늘에서 큰 축복을 받을 것입니다.

“미지근하여 뜨겁지도 아니하고 차지도 아니하”게 된다는 말은 여러분에게 어떤 의미인가? 어린이들이 미지근함과 상반되는 태도로, 즉 구주와 그분의 복음에 열정적으로 헌신하도록 도울 수 있는 방법들을 생각해 본다.

활동 아이디어

  • 함께 요한복음 3장 5, 12, 21절을 읽고, 어린이들이 잘 모를 만한 단어를 설명해 준다. 여기서 “이기는”이란 말은 무슨 의미인가? 어린이들에게 이 구절에서 약속된 축복 중 하나를 선택하여 반원들에게 이야기해 보자고 한다.

  • 다 함께 요한계시록 3장 15~16절을 읽는다. 어린이들에게 (국처럼) 뜨겁거나 (아이스크림처럼) 차가울 때 가장 쓸모 있고 즐거운 것들에 대해 이야기해 보라고 한다. 구주에 대한 미온적인 자세는 5, 12, 21절에서 약속된 축복을 받는 데 어떻게 방해가 되는가?

  • 칠판에 미지근하다라는 말을 적고, 비슷한 의미를 가진 내키지 않아 하다, 무관심하다, 건성이다 등을 적는다. 이런 말들을 활용하여 주님께서 우리가 미지근하게 되는 것을 바라시지 않는 이유를 어린이들이 이해하도록 돕는다. 그분께서 우리에게 바라시는 모습을 나타낼 만한 단어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여러분이 구주께 온전히 헌신하고 싶은 이유를 들려주고, 어린이들에게 그들의 생각도 이야기해 달라고 한다.

요한계시록 3:20

나는 예수 그리스도를 내 삶의 일부로 받아들일 것입니다.

반원들이 마음을 열어 자기 삶에 예수 그리스도의 권능과 영향력을 받아들이도록 어떻게 도울 수 있을까?

활동 아이디어

  • 요한계시록 3장 20절을 읽는 동안, 『와서 나를 따르라—개인 및 가족』 교재의 이번 주 개요에 나오는 것과 같이 문 앞에 서 계시는 구주의 그림을 보여 준다. 어린이들이 그림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도록, 둘씩 짝을 지어 다음과 같은 질문에 대답해 보라고 한다. 예수님께서는 왜 문을 두드리고 계신다고 생각하는가? 문에는 왜 손잡이가 달려 있지 않을까? 예수님을 우리 삶에 받아들인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 어린이들에게 예수님을 향해 “문을 열” 수 있는 여러 방법을 칠판에 적어 보라고 한다. 다른 사람에게 봉사하기, 경전 읽기, 침례 성약 지키기, 성찬 취하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요한계시록 5:1~10

예수 그리스도는 나의 구주가 되실 수 있는 유일한 분이십니다.

요한계시록 5장의 시현에는 예수 그리스도는 속죄를 이루고 우리를 죄에서 구원하실 합당성과 능력을 갖춘 유일한 분이라는 가르침이 담겨 있다.

활동 아이디어

  • 어린이들에게 혼자서는 할 수 없는 일을 하기 위해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했던 경험을 이야기해 달라고 한다. 요한계시록 5장 1~10절을 읽고, 어떤 한 사람만이 할 수 있는 꼭 필요한 일에 대한 내용을 찾아보라고 한다.(어린 양은 예수 그리스도를, 두루마리는 하나님의 계획을 나타낸다고 설명한다.) 예수님께서는 우리를 위해 다른 사람은 할 수 없는 어떤 일을 하셨는가?

  •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간증이 담긴 찬송가나 어린이 노래를 찾아보게 한다. 그 노랫말에는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어떤 가르침이 담겨 있는가? 그 노래는 예수 그리스도를 찬양한 요한계시록 5장 9~10절에 나온 노래와 어떤 점에서 비슷한가?

이미지
배우기 아이콘

가정에서 학습하도록 격려한다

어떻게 하면 가정에 구주의 영향력이 임하게 할 수 있을지에 대해 가족들과 그 방법을 이야기해 보라고 한다.

더 나은 가르침을 위하여

경건하도록 격려한다. 경건함의 중요한 요소 한 가지는 하나님 아버지와 예수 그리스도를 생각하는 것이다. 조용한 소리로 노래를 부르거나 콧노래를 하거나 예수님의 그림을 보여 줌으로써 어린이들에게 경건에 대해 일깨워 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