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구약전서
2월 21일~27일. 창세기 24~27장: 성약이 새로워지다


“2월 21일~27일. 창세기 24~27장: 성약이 새로워지다”, 『와서 나를 따르라—초등회: 2022 구약전서』(2021)

“2월 21일~27일. 창세기 24~27장”, 『와서 나를 따르라—초등회: 2022』

이미지
리브가

리브가 삽화, 딜린 마쉬

2월 21일~27일

창세기 24~27장

성약이 새로워지다

창세기 24~27장을 읽고 공과를 준비할 때, 여러분이 가르치는 어린이들을 생각해 본다. 그들이 무엇을 배워야 할까? 이 활동 중 그들에게 의미 있는 것은 무엇일까? 이 책자나 『와서 나를 따르라—개인 및 가족』 교재에 있는 어떤 활동이든 그들의 필요 사항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느낌을 기록한다

이미지
나누기 아이콘

나누도록 권유한다

어린이 각자의 의자 밑에 창세기 24~27장에 나오는 사건이나 원리에 관련된 질문을 놓아둔다. 어린이들에게, 할 수 있으면, 질문에 대한 답을 해 달라고 하고, 아니면 수업을 잘 들으면서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보라고 한다.

이미지
가르치기 아이콘

교리를 가르친다: 나이가 어린 아이들

창세기 24:10~21

나는 다른 사람들에게 친절할 수 있어요.

아브라함의 종은 리브가가 자신뿐만 아니라 주인의 낙타 열 마리에게도 물을 먹이며 따뜻이 환대하는 모습에서 깊은 감명을 받았다. 리브가의 모범을 통해 어린이들은 다른 사람들에게 항상 친절해야 한다는 것을 기억할 수 있다.

이미지
고대 우물

아브라함과 이삭이 우물을 팠던 고대 베르셰바에 있는 우물

활동 아이디어

  • 이번 주 활동 그림에 있는 리브가의 그림을 보여 준다. 창세기 24장 10~21절에서 리브가가 아브라함의 종에게 친절을 베푼 이야기를 요약해 주면서 그림에 있는 세부적인 부분을 짚어 준다. 리브가가 보인 친절한 말과 행동은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의 아들인 이삭과 혼인시키고자 하신 여인이 리브가임을 나타내는 표시였음을 알려 준다. 어린이들에게 낙타와 함께 그곳에 당도한 종이나 그들에게 물을 가져다주는 리브가 역할을 해 보라고 한다. 그들에게 성구에 나오는, “물을 내게 조금 마시게 하라”(17절)와 “당신의 낙타를 위하여서도 물을 길어 [오겠나이다]”(19절)와 같은 대사를 낭송해 보게 한다. 다른 사람들을 친절하게 대하는 것은 왜 중요할까?

  • 구주께서 다른 사람에게 친절을 베푸신 이야기를 들려준다. 어린이 몇 명에게 친절을 베풀었던 경험을 이야기해 달라고 한다.

  • 친구들과 놀 때나 학교에서 새로운 사람을 만날 때처럼 어린이들이 친절을 베풀 수 있는 상황을 몇 가지 제시한다. 어린이들에게 이런 상황에서 어떤 방법으로 친절을 베풀 수 있는지 이야기해 보라고 한다.

  • 어린이들과 함께 “내가 먼저 친절하렵니다”나 “주 예수를 닮으려고”처럼 친절에 관한 노래를 한 곡 부른다.(『어린이 노래책』, 83, 40~41쪽) 어린이들에게 노랫말에서 “친절”(또는 비슷한 단어)이란 말이 나오는지 들어 보다가 그 말이 나오면 자리에서 일어나라고 한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에게 어떻게 친절을 보일 수 있을까? 이 토론을 할 때 이번 주 활동 그림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창세기 25:29~34

나는 가장 중요한 것을 선택할 수 있어요.

에서는 가족의 장자였기 때문에 아버지로부터 장자의 명분이라고 하는 특별한 책임과 특권을 받기로 되어 있었다. 어느 날, 배가 고팠던 에서는 동생 야곱이 준 음식을 장자의 명분과 맞바꾸어 버렸다. 이 이야기에서 어린이들은 일시적인 만족을 주는 것보다 영속적인 것을 선택해야 한다는 점을 배울 수 있다.

활동 아이디어

  • 장자의 명분을 파는 에서의 이야기를 할 때 그릇, 신권 축복을 받는 사람의 사진 등 도움이 될 만한 소품을 가지고 온다. 어린이들에게 소품을 이용하여 그 이야기에 대해 아는 것을 말해 보라고 한다. “야곱과 에서”(『구약전서 이야기』)가 도움이 될 수 있다. 창세기 25장 34절을 함께 읽고, 누구든 장자의 명분을 가진 사람은 나머지 가족들을 보살펴야 할 특별한 권리와 책임이 있었다고 설명한다.

  • 어린이들에게 두 장의 사진을 보여 준다. 하나는 영적인 가치가 큰 것(예: 성전)에 관한 사진을, 또 하나는 일시적인 행복만을 가져오는 것(예: 놀이, 장난감, 또는 맛있는 음식)에 관한 사진을 준비한다. 어린이들에게 어떤 것이 우리가 하나님 아버지께 돌아가는 데 도움이 될 것인지 선택해 보라고 한다. 다른 사진들로도 같은 질문을 해 본다.

  • 어린이들과 함께 “정의반 노래”(『어린이 노래책』, 82~83쪽)처럼 좋은 선택을 하는 것에 관한 노래를 한 곡 부른다. 옳은 것을 선택할 때 축복을 받고 행복해진다고 간증한다.

이미지
가르치기 아이콘

교리를 가르친다: 나이가 많은 아이들

창세기 24:1~28

나는 신앙으로 행하고 다른 사람에게 친절을 베풀 때 축복받을 것입니다.

아브라함의 종은 이삭의 아내가 될 사람을 찾게 하실 하나님의 인도를 신뢰함으로써 신앙을 보였다. 리브가는 아브라함의 종을 대접하면서 친절을 베풀었다. 여러분이 가르치는 어린이들이 아브라함의 종과 리브가의 모범을 따르도록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까?

활동 아이디어

  • 창세기 24장 1~28절을 함께 읽고, 어린이들에게 신앙과 친절의 본보기를 찾아보게 한다.(예를 들어, 12~14절17~20절 참조) 아브라함의 종과 리브가는 신앙과 친절을 보임으로써 어떤 축복을 받았는가? 칠판에 다음과 같이 적는다. 우리는 …으로써 신앙을 보일 수 있다, 우리는 …으로써 친절을 베풀 수 있다. 그런 다음 어린이들에게 이 문장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완성해 보라고 한다.

  • 창세기 24장 1~28절에서 아브라함의 종과 리브가가 한 말이나 행동을 찾아 종이 쪽지에 적는다. 어린이들에게 쪽지를 하나씩 뽑게 하고, 거기에 적힌 내용이 누가 한 말인지, 또 누가 한 행동인지 함께 알아맞혀 보게 한다.(어린이들은 도움이 필요하면 경전을 참고할 수 있다.) 이 이야기에서 우리는 친절에 대해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신앙에 대해서는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창세기 24장 29~33절, 58~61절에는 친절과 신앙을 보여 주는 다른 예들이 나온다.

  • 어린이들에게 그들이 본 적이 있는 친절한 행위를 떠올려 보라고 한다. 그것을 적은 다음 반원들이나 가족들에게 이야기해 보라고 한다. 누군가가 우리를 친절히 대하면 어떤 기분을 느끼게 되는가?

창세기 25:21~34

나는 현세적인 것보다 영원한 것에 가치를 둘 것입니다.

에서는 위대한 가치를 지닌 장자의 명분을 그보다 가치가 낮은 떡과 죽 한 그릇과 맞바꿨다. 이 구절들을 읽으면서, 어린이들이 영원한 중요성을 지닌 것들을 우선순위에 두도록 어떻게 도울 수 있을지 생각해 본다.

활동 아이디어

  • 창세기 25장 21~34절에서 야곱과 에서의 이야기를 함께 읽는다. 그 구절을 읽으면서, 어린이들에게 그 이야기에 나오는 것 중에서 자신이 그릴 것을 하나씩 정하라고 한다. 그런 다음, 자신이 그린 그림을 가지고 그 이야기를 들려 달라고 한다. 어린이들이 장자의 명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필요하면, 경전 안내서에서 “장자의 명분”을 읽도록 권유한다.(ChurchofJesusChrist.org) 에서가 죽 한 그릇에 장자의 명분을 맞바꾸는 것에 대해 우리에게 조언을 구한다고 상상해 보라고 한다. 우리는 그에게 뭐라고 말할 것인가?

  • 더 위대한 가치를 지닌 어떤 것을 위해 좋은 것을 희생해야 했던 여러분의 경험을 들려준다. 또는 동영상 “계속 인내하십시오”를 보여 준다.(ChurchofJesusChrist.org) 여러분의 경험이나 동영상 속 이야기는 에서가 창세기 25장 29~34절에서 한 선택과 어떤 연관이 있는가? 어린이들에게 하나님 아버지가 그들에게 주고자 하시는 축복들을 생각해 보라고 한다.(예: 더 강한 신앙, 성전 축복, 또는 그분과 함께하는 영생 등) 이와 같은 귀중한 축복들을 받기 위해 그들이 기꺼이 희생할 용의가 있는 것들을 생각해 보라고 한다.

이미지
learning icon

가정에서 학습하도록 격려한다

어린이들이 오늘 초등회에서 배운 원리와 관련하여 세울 수 있는 목표를 생각해 보라고 한다. 예를 들어, 그들은 집에서 다른 사람들에게 친절하게 대하겠다는 목표를 세울 수 있다.

더 나은 가르침을 위하여

어린이들은 지금 배우는 것을 표현하고 싶어 한다. 나이가 어린 아이도 자신의 가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초등회에서 배운 것을 가족에게 전해 보도록 어린이들을 격려한다.(『구주께서 보여 주신 방법으로 가르침』, 30쪽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