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구약전서
10월 24일~30일. 에스겔 1~3장; 33~34장; 36~37장; 47장: “새 영을 너희 속에 두고”


“10월 24일~30일. 에스겔 1~3장; 33~34장; 36~37장; 47장: ‘새 영을 너희 속에 두고’”, 『와서 나를 따르라—초등회: 2022 구약전서』(2021)

“10월 24일~30일. 에스겔 1~3장; 33~34장; 36~37장; 47장”, 『와서 나를 따르라—초등회: 2022』

이미지
양 떼를 이끄시는 예수님

와서 나를 따르라, 스콧 섬너

10월 24일~30일

에스겔 1~3장; 33~34장; 36~37장; 47장

“새 영을 너희 속에 두고”

에스겔의 모든 원리를 시간 내에 가르칠 수는 없을 것이다. 어떤 부분에 초점을 맞출지 영적인 인도를 구하고, 어린이들이 가정에서 계속하여 배울 수 있도록 격려한다.

느낌을 기록한다

이미지
나누기 아이콘

나누도록 권유한다

어린이 몇 명에게 돌아가면서 최근에 경전에서 배운 것을 그림으로 그려 보라고 한다. 나머지 어린이들에게는 각 어린이가 무엇을 그리고 있는지 맞혀 보게 한다.

이미지
가르치기 아이콘

교리를 가르친다: 나이가 어린 아이들

에스겔 3:17

선지자들은 우리에게 위험을 경고하는 파수꾼과 같아요.

에스겔은 이스라엘 백성에게 그들이 볼 수 없는 위험을 경고하는 파수꾼과 같았다. 오늘날 우리의 선지자들은 어떤 점에서 파수꾼과 같은지 어린이들이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활동 아이디어

  • 에스겔 3장 17절에서 주님이 에스겔에게 하신 말씀을 어린이들에게 읽어 준다. 어린이들에게 그 구절과 어울리는 동작을 해 보라고 한다. 예를 들어, “파수꾼”, “듣고”, “입”이 나오면 어린이들은 자신의 눈, 귀, 입을 가리킬 수 있다.

  • 어린이들을 이끌고 야외에서처럼 교실 안을 걷는다. 길 위에 있을 만한 가상의 위험들을 경고한다. 건너뛰어야 할 개천이나 머리를 숙이고 지나가야 할 나뭇가지나 피해야 할 동물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어린이들에게 돌아가면서 안내자 역할을 해 보라고 한다. 선지자는 우리가 볼 수 없는 위험을 어떻게 경고하는지 이야기를 나눠 본다.

  • 선지자 따라”(『어린이 노래책』, 58~59쪽)의 마지막 절과 같이 선지자에 관한 노래를 함께 부르면서 현재 선지자의 사진을 보여 준다. 여러분에게 선지자는 어떤 의미에서 파수꾼과 같은지 이야기해 준다.

에스겔 37:15~19

나는 경전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에 대해 배워요.

에스겔은 이스라엘의 집을 하나로 합쳐지는 두 개의 막대기에 비유했다. 이 두 막대기는 함께 그리스도를 증거하는 성경과 몰몬경을 상징하기도 한다.

활동 아이디어

  • 어린이 몇 명에게는 몰몬경을 주고, 몇 명에게는 성경을 준다. 에스겔 37장 15~19절을 요약해서 들려주면서, 주님께서는 에스겔에게 성경과 몰몬경을 상징하는 두 개의 막대기 위에 글을 쓰라고 말씀하셨다고 설명한다. 17절을 읽어 주고, 어린이들에게 각자 자신과 다른 경전을 가진 어린이를 찾아 두 경전을 “합”쳐서 “[그들의] 손에서 … 하나가 되”게 하라고 한다. 성경과 몰몬경, 이 두 책은 우리가 하나님 아버지와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신앙을 강화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이야기를 나눠 본다.

  • 어린이들에게 『복음 그림책』이나 『와서 나를 따르라』 지난 교재들에 수록된 그림을 활용하여 성경과 몰몬경에 나오는 예수님 이야기들을 전해 보게 한다. 어린이들에게 이 두 경전이 있어서 감사한 이유를 말해 보라고 한다.

이미지
사막과 사해

에스겔은 성전에서 강물이 흘러나와 사해가 되살아나는 것을 시현으로 보았다.

에스겔 47:1~12

성전으로부터 위대한 축복이 와요.

성전에서 흘러나온 치유의 강물에 대한 에스겔의 시현은 어린이들이 성전이 우리 삶에 축복을 가져다준다는 사실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활동 아이디어

  • 어린이들에게 컵에 담긴 물을 보여 준다. 물은 우리를 어떻게 축복하는가? 어린이들에게 성전에서 흘러나온 물에 대한 에스겔의 시현 이야기를 들려준다.(에스겔 47:1~12 참조) 『와서 나를 따르라—개인 및 가족』 교재의 이번 주 개요에 수록된 그림을 보여 준다. 여러분이 받는 축복 중 에스겔의 시현에 나오는 강과 같이 성전으로부터 오는 축복에 대해 말해 준다.

  • 어린이들에게 자신이 성전에 가는 모습을 그림으로 그려 보라고 한다. 다 함께 “가족은 영원해”(『어린이 노래책』, 98쪽)처럼 성전의 축복들을 묘사하는 노래를 한 곡 부른다. 이 노래는 성전이 우리를 축복하는 방법에 대해 무엇을 알려 주는가?

이미지
가르치기 아이콘

교리를 가르친다: 나이가 많은 아이들

에스겔 2:3~4; 3:7; 36:26~27

예수 그리스도는 내가 마음을 변화시키도록 도와주실 수 있습니다.

에스겔은 구주께서 우리 삶에 가져다주시는 변화의 종류를 가르치기 위해 “새 마음”과 “새 영”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활동 아이디어

  • 어린이들에게 에스겔 2장 3~4절, 3장 7절에서 이스라엘 백성을 묘사하는 단어들을 찾아보라고 한다. 그런 다음, 에스겔 36장 26~27절을 읽고, 구주께서는 어떻게 그들이 변화하도록 도와주겠다고 하셨는지 알아보라고 한다. 그분께서 우리에게 주시는 “새 마음”과 “새 영”을 설명할 수 있는 말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예를 들어, 모사이야서 3:19; 5:2 참조)

  • 어린이들에게 “마음이 굳은” 사람들이 할 만한 일들을 생각해 보라고 한다.(에스겔 2:4; 3:7) 예를 들어, 그들은 부모님이나 선지자의 권고에 어떻게 반응하겠는가? 그들은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보면 어떻게 하겠는가? 구주께서 우리 마음을 부드럽게 하실 때 우리의 행동은 어떻게 달라지는가?

에스겔 37:19~23

성경과 몰몬경은 우리를 예수 그리스도께로 “모[을]” 수 있습니다.

에스겔의 “유다의 막대기”(성경)와 “요셉의 막대기”(몰몬경)는 함께 이스라엘을 구주께로 모은다.(에스겔 37:19 참조)

활동 아이디어

  • 성경과 몰몬경을 들어 올리고, 어린이들에게 이 두 책이 다 있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는 이유를 물어본다. 에스겔 37장 19절을 읽어 주고, “요셉의 막대기”는 애굽의 요셉의 후손들이 기록한 몰몬경을 지칭하며, “유다의 막대기”는 그 대부분을 유대인이 기록한 성경을 지칭한다고 설명한다. 그런 다음, 다 함께 21~23절니파이후서 3장 12절을 읽고, 이 두 책이 모두 있음으로써 오는 축복들을 나열해 본다.

  • 교실 한가운데 예수님 그림을 놓고, 어린이들에게 벽을 따라서 자신의 의자를 다른 곳으로 옮겨 보라고 한다. 그런 다음, 경전 안내서를 활용하여 성경과 몰몬경에서 예수 그리스도에 대해 가르치는 경전 구절들을 찾아보라고 한다.(필요하면 찾는 방법을 보여 준다.) 어린이들이 한 명씩 각자 찾은 경전 구절을 발표할 때마다 나머지 어린이들은 의자가 예수님 그림과 좀 더 가까워지게 움직이도록 한다. 모든 어린이가 다시 그분께로 “모[일]” 때까지 활동을 계속한다.

에스겔 47:1~12

성전의 축복은 우리의 마음과 가정을 치유할 수 있습니다.

에스겔의 시현에 등장하는 성전에서 흘러나온 물은 그것이 닿는 모든 것을 되살렸다. 그와 마찬가지로, 성전에서 오는 축복은 우리를 영적으로 치유하고 우리에게 영생을 가져다줄 수 있다.

활동 아이디어

  • 칠판에 에스겔 47장 1~12절과 관련된 핵심 단어와 문구들을 적는다. 성전, 강, 사막, 사해, 많은 물고기, 과실나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어린이들에게 이 중에서 하나를 골라 그려 보라고 한다. 그런 다음, 해당 성구를 함께 읽으면서 자신이 그린 그림과 관련된 단어가 나오면 그림을 보여 달라고 한다. 이 시현에서는 강으로부터 어떤 축복들이 왔는가?(8~9, 12절 참조) 이런 축복들은 하나님 아버지와 구주께서 성전 성약을 지키는 사람들에게 주시는 축복과 어떤 점에서 같은지 어린이들이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 데일 지 렌런드 장로가 “가족 역사와 성전 사업: 인봉과 치유”에서 에스겔의 시현에 대해 가르친 내용을 함께 읽는다.(『리아호나』, 2018년 5월호, 47~48쪽) 여러분은 가족 역사 사업과 성전을 통해 어떻게 구주의 치유를 경험했는지를 이야기해 준다. 어린이들은 성전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지 이야기해 달라고 한다.

이미지
배우기 아이콘

가정에서 학습하도록 격려한다

어린이들에게 오늘 배운 것 한 가지와 더 자세히 배우고 싶은 것 한 가지를 가족들과 이야기해 보라고 격려한다.

더 나은 가르침을 위하여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을 뒷받침한다. “여러분이 가르치는 사람들이 개인적으로, 그리고 가족과 함께 경전 안에서 자신만의 경험을 하도록 권장하는 것이 교사로서의 목표 중 하나가 되어야 한다.”(『구주께서 보여 주신 방법으로 가르침』, 3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