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회 교재 및 함께 나누는 시간
6월: 나는 침례와 확인을 받음으로써 하나님 아버지의 계획을 따르겠다


6월

나는 침례와 확인을 받음으로써 하나님 아버지의 계획을 따르겠다

“내게로 와서 내 이름으로 침례를 받아 너희의 죄 사함을 얻고 성신으로 충만하게 되어”(제3니파이 30:2)

여기에 제시된 아이디어에 여러분의 생각을 보충한다. 매주 (1) 교리를 분명하게 제시하고, (2) 어린이들이 교리를 이해하도록 돕고, (3) 교리를 생활에 적용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방법을 계획한다. “어린이들이 배우기 위해 할 일은 무엇이며, 또 어떻게 하면 그들이 영을 느끼도록 도울 수 있을까?” 하고 자문해 본다.

첫째 주: 나는 침례와 확인을 받고 침례 성약을 지킴으로써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겠다.

초등회를 시작하기 전에 색상이 서로 다른 두 장의 색지에서 커다란 발자국 모양을 하나씩 오려 낸다. 한 발자국에는 “침례와 확인을 받음”이라고 적고 다른 발자국에는 “침례 성약을 지킴”이라고 적는다. 그 두 색으로 만든 작은 발자국 모양을 여러 개 준비한다. 첫 번째 색으로 만든 발자국들에 다음 중 하나를 선택해서 적는다. 여덟 살, 회개, 감독님과 접견, 침수, 신권 권세, 성약, 흰 옷, 성신 두 번째 색으로 만든 발자국들에는 “나의 복음 표준”에 나오는 표준들 중 한 가지를 적는다. 작은 발자국들을 모두 교실 안 곳곳에 무작위로 붙여 둔다.

교리를 분명하게 제시한다: “나는 ……으로써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겠다.”라는 문장을 칠판에 적는다. 큰 발자국을 하나씩 칠판에 붙이고 함께 읽는다. 이것들은 하나님 아버지의 계획에서 필수적인 단계라고 설명한다. 필요하다면 어린이들에게 침례 성약이 무엇인지 설명해 준다.

이미지
칠판

발자국 모양은 sharingtime.lds.org에서 구할 수 있다

이해를 돋우고 적용해 보게 한다(짝 맞추기 게임하기): 한 어린이에게 첫 번째 색으로 만든 발자국 하나를 찾아보라고 한다. 그 발자국에 적힌 단어나 어구를 읽고 짝이 되는 큰 발자국 아래에 붙이게 한다. 어린이들에게 이것이 침례 및 확인과 무슨 관계가 있는지를 물어본다. 첫 번째 색으로 만든 발자국 모두에 대해 이와 같이 반복한다.

한 어린이에게 두 번째 색으로 만든 발자국 하나를 찾아보라고 한다. 발자국에 적힌 단어나 어구를 읽고 짝이 되는 큰 발자국 아래에 붙이게 한다. 발자국에 적힌 복음 표준에 따라 생활하는 것이 어린이들이 침례 성약을 지키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될지 토론한다. 나머지 발자국에 대해서도 이와 같이 반복한다.

둘째 주: 내가 합당하게 생활하면 성신은 내가 옳은 것을 선택하도록 도와줄 것이다.

교리를 분명하게 제시한다(노래 부르기): 어린이들에게 침례를 받은 후에 어떤 선물을 받게 되는지 질문한다. “성신”(어린이 노래책, 56쪽) 노래 2절을 불러 준다. 부르기 전에 어린이들에게 노래를 들으면서 다음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보라고 한다. 성신은 우리가 무엇을 하도록 도와주는가? 어린이들에게 고요하고 작은 음성이 성신이며 그분은 우리가 옳은 것을 선택하도록 돕는다는 점을 이해시킨다.

이해를 돋운다(실물 공과 보기): 우리는 마음속의 생각과 느낌에 주의를 기울임으로써 성신의 속삭임을 듣는 법을 배워야 한다고 설명한다.(교리와 성약 8:2 참조) 한 어린이에게 유리병 속에 동전을 하나 넣고 흔들어 보라고 한다. 어린이들에게 그 소리가 얼마나 분명하게 들리는지 한번 들어보라고 한다. 그 병 속에 흙이나 쌀, 모래, 또는 솜을 한 숟가락씩 추가해 보게 한다. 한 숟가락씩 넣을 때마다, 한 어린이에게 그 병을 흔들게 하고 나머지 어린이들에게 소리가 그 전과 어떻게 다른지 말해보게 한다. 동전 소리가 안 들릴 때까지 한 숟가락씩 계속 추가한다. 여기에 비유해서, 우리 삶이 방해 요소나 죄로 가득 차 있다면 성신의 음성을 듣기가 어렵다는 점을 설명한다. 병 속에 들어 있는 내용물을 비운 후, 동전 소리가 얼마나 분명하게 들리는지를 알도록 시범으로 흔들어 보인다. 계명을 지키고 죄를 회개하면 성신의 음성을 더 잘 들을 수 있다고 간증한다.

이미지
흙이 가득 담긴 병을 흔드는 어린이

교리를 시각 자료와 연결하여 설명하면 어린이들이 배운 공과를 더 잘 기억할 수 있다.

적용해 보게 한다(생각 나누기): 어린이들을 여러 그룹으로 나눈 후, 여러분이 “성신” 노래를 부르거나 가사를 읊어 주는 동안 그룹별로 작은 물건 하나를 전달해 돌리게 한다. 무작위로 노래를 멈추고, 그 물건을 갖고 있는 각 어린이에게 성신의 속삭임을 더욱 분명하게 듣기 위해서 할 수 있는 일을 한 가지씩 말해보게 한다. 다 함께 “성신” 노래를 부르며 공과를 마친다.

셋째 주: 나는 성찬을 취할 때 침례 성약을 새롭게 한다.

교리를 분명하게 제시한다(그림 보기): 침례 받는 모습이 담긴 사진과 성찬 사진을 보여주면서, 이 두 사진이 서로 어떤 연관이 있는지를 묻는다. 어린이들에게 우리가 침례를 받을 때 하나님 아버지와 성약을 맺는다는 사실을 상기시키고, 성찬을 취할 때 침례 성약을 새롭게 한다는 점을 설명한다.

이해를 돋운다(듣기와 토론하기): 성찬 기도문(교리와 성약 20:77 참조)에 나오는 다음 구절들을 읽어 주면서, 어린이들에게 누가 약속을 하고 있는지 생각해 보고 자기 자신과 하늘 중에 하나를 가리켜 보라고 한다. “당신 아들의 이름을 받들며”, “항상 그를 기억하고”, “계명을 지키고”, “항상 그의 영과 함께 하도록” 각 구절의 의미를 토론한다.

적용해 보게 한다(동작으로 표현하기): 어린이들에게 우리가 성찬 기도문에서 듣는 성약의 각 부분을 연상시키는 동작을 생각해 보라고 한다. 예를 들어, 가슴에 손을 얹는다거나(당신 아들의 이름을 받들며), 손가락으로 머리를 가리킨다거나(항상 그를 기억하고), 손으로 책을 펴는 시늉을 한다거나(계명을 지키고), 팔로 자기 몸을 감싸는(항상 그의 영이 함께 하도록) 동작을 할 수 있다. 네 가지 약속을 동작과 함께 여러 번 반복해서 말한다. 어린이들에게 성찬 기도문을 들을 때 이런 동작들을 마음속으로 떠올려 보라고 권유한다.

이미지
동작을 하는 어린이들

넷째 주: 나는 회개하면 용서받을 수 있다.

교리를 분명하게 제시한다(낱말 순서 맞추기): 어린이들에게 회개용서라는 단어의 의미를 설명해 보라고 한다. 다음 낱말들을 종이 쪽지에 하나씩 적어 봉투에 넣고, 반별로 봉투를 하나씩 준다. 나는, 회개하면, 용서받을, 수, 있다 각 반에게 낱말들을 올바른 순서로 맞춰 보라고 한다. 다 맞추었으면, 모두 함께 그 문장을 여러 번 읽는다.

이해를 돋운다(경전 이야기 연기하기): 탕자 이야기(누가복음 15:11~24 참조)를 들려주면서 가능한 한 많은 동작을 해 보인다.(예: 두 아들을 나타내기 위해 두 손가락을 들어 보인다. 배고픔을 표현하기 위해 배를 어루만진다.) 어린이들에게 이야기를 들으면서 여러분의 동작을 조용히 따라 하라고 한다. 탕자를 묘사한 그림을 보여주고 이 이야기에 나오는 아버지는 어떤 점에서 하나님 아버지와 비슷하냐고 묻는다. 이 아버지처럼 우리 하나님 아버지께서도 우리를 사랑하시며 우리가 그분께 돌아오기를 바라신다고 설명한다. 그분은 우리가 회개하면 모든 잘못을 용서해 주실 것이라고 말해준다.

적용해 보게 한다(경전 읽기): 한 어린이에게 모사이야서 26장 30절을 읽어 달라고 한다. 나머지 어린이들에게 사람이 자기 잘못을 몇 번이나 용서받을 수 있는지 잘 들어보라고 한다. 어린이들에게 다음부터는 잘못을 저지르면 어떻게 해야 할지 조용히 생각해 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