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나리
골로새서 1~2장


골로새서 1~2장

“그[분] 안에 뿌리를 박으며 세움을 받아”

이미지
바람이 많이 부는 상태에서 자라는 나무의 뿌리를 보여 주는 단면.

나무를 뿌리째 뽑거나 파괴할 수 있는 자연의 힘이 존재하듯이, 예수 그리스도 안에 세워진 우리 각자의 영적 기초를 뿌리 뽑으려 하는 힘도 존재한다.(힐라맨서 5:12 참조) 바울은 골로새인들의 신앙이 거짓 가르침과 관행으로 위태롭게 된 것을 보고 그들에게 서한을 썼다. 이번 과는 여러분의 신앙을 위협하는 힘과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더욱 굳건해질 수 있는 방법을 깨닫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여러분은 어떤 면에서 나무와 같은가?

1. 여러분이 가장 좋아하는 과일 나무를 그리고, 지침에 따라 수업을 하는 동안 그림에 내용을 추가한다.

  • 여러분이 어떤 면에서 이 나무와 같은지 생각해 본다. 예를 들자면, 그리스도를 믿는 여러분의 신앙을 뿌리 뽑거나 무너뜨리려는 힘을 생각해 본다. 복음의 열매를 누리기 위해 이러한 힘에 맞서 굳건하게 서는 데 도움이 필요한 이유를 생각해 본다.

바울은 골로새 성도들이 예수 그리스도와 자신의 관계가 갖는 중요성을 더욱 명확하게 알도록 돕기 위해 나무의 상징을 사용했다. 그가 이 상징을 사용한 것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성도들의 신앙을 위태롭게 하던 거짓 가르침과 관행에 맞서 그들을 굳건히 세우기 위해서이기도 했다. 바울의 말씀을 더 잘 이해하고 적용하기 위해 성신의 영감을 구한다.

나무의 열매

여러분이 그린 나무의 열매와 이 열매를 좋아하는 이유를 생각해 본다.

골로새서 1장 10~22절을 읽는다. 바울이 설명한 “열매”(또는 축복)를 찾아보고, 여러분이 이 열매를 소망하는 이유를 생각해 본다. 여러분의 나무에 열매를 그리고, 이 열매에 바울의 가르침을 적어 본다.

  • 바울이 이야기한 열매 또는 축복은 무엇인가?

  • 이 열매 중 여러분이 현재 누리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 여러분이 누리고 싶은 열매는 어떤 것인가? 그 이유는 무엇인가?

다음 문장을 학습 일지에 적은 다음, 이전 질문에 대한 답을 첫 번째 빈칸에 적는다.

  • 을(를) 원한다면 해야 한다.

골로새서 1장 23절을 읽으면서 우리가 이 열매를 받기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이라고 바울이 말했는지 찾아본다. 찾은 것을 두 번째 빈칸에 적는다.

  • “믿음에 거하고 터 위에 굳게 서”는 것은 어떤 모습인가? (골로새서 1장 23절)

  • 여러분은 예수 그리스도에 대해, 계속 그분의 터 위에 굳게 서도록 북돋아 주는 무엇을 알고 있는가?

  • 여러분은 이 구절에서 그분의 터 위에 굳게 서고자 하는 확신이나 소망을 키워 주는, 그분에 관한 어떤 진리를 또 찾았는가?

골로새서 2장 6~7절을 읽으면서 바울이 우리 나무의 뿌리에 대해 가르친 것을 찾아본다. 그가 말한 내용을 바탕으로 여러분 나무 주변의 땅에 그것을 적어 본다.

  • 바울은 우리가 뿌리를 어디에 심어야 한다고 가르쳤는가?

  • 그리스도 안에 “뿌리를 박는다”는 말은 무슨 의미일까?

  • 예수 그리스도 안에 우리 자신을 뿌리내리는 것이 그분의 터 위에 굳게 서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는가? 그것은 어떤 모습일까?

여러분이 아는 사람 중 그리스도의 터 위에 굳게 서고, 뿌리내리는 것을 보여 주는 사람을 떠올려 본다.

다음은 그리스도 안에 뿌리를 박은 사람들에 관한 두 가지 실례이다. 본부 청남 회장인 스티븐 제이 런드 회장은 매우 심각한 병중에도 신권 의무를 계속 충실하게 완수하고 있는 자신의 아들의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가능하다면 동영상 “그리스도 안에서 기쁨을 찾음”의 0:09~3:57 구간을 시청하여 이 이야기를 들어 본다.

본부 청남 회장단에서 봉사했던 엠 조셉 브로 형제는 새로운 지역으로 이사하는 어려움을 충실하게 견디고 선교사로 봉사하기로 선택한 자신의 십 대 딸에 관한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가능하다면 동영상 “네 머리를 들고 기뻐하라”의 5:48~7:48 구간을 시청하여 이 이야기를 들어 본다.

여러분 나무의 깊고 강한 뿌리를 그린다. 이 사람들의 성품이나 행동 중에 그들을 예수 그리스도에게 단단히 이어 준다고 생각되는 것을 뿌리에 적는다.

골로새서 1장 23절2장 6~7절을 살펴본다. 그런 다음, 골로새서 2장 8, 12절과 제일회장단의 댈린 에이치 옥스 회장의 다음 말씀을 읽는다. 우리 자신을 구주께 더 단단히 연결할 수 있는 또 다른 방법들을 여러분 나무의 뿌리에 적어 본다.

이미지
댈린 에이치 옥스 회장의 공식 사진, 2018년 3월.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에 뿌리를 굳게 내려 깊이 개심하고자 노력해야 합니다.(골로새서 2:6~7 참조) 주님의 영이 항상 우리와 함께하도록 기도하고, 경전을 읽으며, 봉사하고, 정기적으로 성찬을 취하여 이 개심을 이루어야 합니다. 또한 우리는 마음에 크나큰 변화를 추구하여(앨마서 5:12~14 참조) 악한 욕망과 이기적인 관심사 대신, 하나님의 사랑을 품고 하나님과 그분의 자녀들에게 봉사하고자 하는 소망을 지녀야 합니다.

(댈린 에이치 옥스, “씨 뿌리는 자의 비유”, 『리아호나』, 2015년 5월호, 35쪽)

  • 여러분이 그리스도의 터 위에 더욱 굳게 서 있다면 여러분의 삶은 어떻게 달라질까?

많은 사람들이 그리스도 안에서 자신의 뿌리를 더욱 깊이 내리기 위한 선택을 할 수도 있지만, 이들이 그러한 선택을 완수하는 방식은 실제로 의미 있는 결과를 낳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은 매일 경전을 읽으면서도, 경전에 담긴 진리를 찾고, 숙고하고, 적용하지는 않는다. 여러분의 선택을 어떻게 완수하고 있는지, 그리고 달라져야 할 부분이 있는지 깊이 생각해 본다.

뿌리 뽑는 힘을 견딤

나무를 뿌리째 뽑거나 파괴할 수 있는 자연의 힘이 존재하듯이, 예수 그리스도 안에 세워진 우리 각자의 영적 기초를 뿌리 뽑으려 하는 힘도 존재한다.

여러분 나무의 주변에 나무 뿌리를 뽑을 수 있는 바람이나 폭풍을 그린다. 이 바람과 폭풍에 여러분의 영적 뿌리를 뽑아 예수 그리스도의 터 위에 굳게 서지 못하게 막을 수 있는 힘을 적어 본다. 골로새서 2장 4, 8절을 읽으면서 골로새 성도들이 겪고 있던 그러한 힘 중 몇 가지를 찾아보면 좋을 것이다.

  • 여러분이 오늘 찾은 뿌리는 그러한 힘에 맞서 굳건히 서기 위해 구주의 권능을 받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는가?

가능하다면 동영상 “영적인 회오리바람”(2:24)을 시청한다. 그리스도의 터 위에 굳게 서는 것이 여러분에게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는지 찾아본다.

여러분이 무엇을 잘 하고 있는지,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의 터 위에 더욱 굳게 서기 위해 무엇을 더 잘 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성신을 통해 하나님 아버지의 도움을 구한다. 여러분의 생각과 느낌을 학습 일지에 적은 후, 그러한 생각과 느낌을 실천에 옮긴다.

선택 사항: 더 알아보기 

우리는 왜 그리스도 안에 뿌리내려야 하는가?

십이사도 정원회의 닐 에이 맥스웰(1926~2004) 장로는 이렇게 설명했다.

이미지
닐 에이 맥스웰 장로의 최종 공식 인물 사진, 1992년.

마지막 날에 일어나는 사건과 상황으로 인해 우리가 교회의 회원으로서 더 믿음에 거하고 좀 더 뿌리내리고 확립되며, 터 위에 굳게 서는 일이 꼭 필요하게 되었습니다.(골로새서 1:23; 2:7; 배드로후서 1:12 참조) 예수님은 당신의 제자들에게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이것을 너희 마음에 굳게 서게 하여 내가 너희에게 가르치고 명할 일들을 너희가 행하게 하라.”[Joseph Smith Translation, Luke 14:28] 만약 굳게 서지 않는다면, 우리는 심하게 흔들리게 될 것입니다. 굳게 선다면, 소문이나, 그릇된 가르침, 혹은 세상의 동향이나 풍조에 의해 “요동하지” [에베소서 4장 14절]않게 될 것입니다. …

그러나 우리가 먼저 예수님 안에 굳게 서지 않고서는 그분이 명하신 것을 굳건하게 행할 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우리의 과제는 “[우리] 자신을 하나님의 뜻에 화합되게 하고, … 육체의 뜻에 화합되[지 않게 하는]” 것입니다.(니파이후서 10:24)

(닐 에이 맥스웰, “내가 이긴 것 같이 … 이기라”, 『성도의 벗』, 1987년 7월호, 78쪽)

또한 동영상 “인생의 폭풍우 속에서 피난처를 찾음”의 0:00~3:49 구간을 시청하고 리카르도 피 히메네스 장로의 통찰을 들어 보면 좋을 것이다.

골로새서 2:13~15. 바울은 구주의 십자가에 못 박히심에 관한 상징에 대해 골로새 성도들에게 무엇을 가르쳤는가?

바울은 골로새 성도들에게 하나님께서 그들을 용서하셨음을 일깨워 주었다.(골로새서 1:14, 20, 22 참조) 바울이 골로새서 2장 14~15절에서 사용한 비유는 그리스도의 속죄로 우리가 어떻게 죄 사함을 받을 수 있게 되었는지를 강조한다. 바울의 시대에 로마에서는 형을 선고받은 사람의 죄를 패에 적는 관습이 있었다. 그렇게 해서 범법자를 십자가에 못 박아 처형할 때, 그 패를 십자가에 함께 못 박아 오가는 사람들이 모두 보게 했다.(요한복음 19:19~22 참조) 바울은 13~15절에서 이 비유를 사용하여 골로새인들에게 그들이 용서받았음을 가르쳤다. 그것은 마치 골로새 성도들에 대한 모든 영적 고발과 비난의 목록이 패에 적혀 십자가에 못 박히는 것과 같았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 못 박히심으로써 이 목록은 지워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