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나리
야고보서 3장


야고보서 3장

우리가 하는 말

이미지
Three teenage young women smiling and laughing together.

우리가 하는 말에는 힘이 있다. 여러분의 삶에서 좋은 쪽으로든 나쁜 쪽으로든 말의 힘을 느꼈던 경험을 떠올릴 수 있는가? 야고보는 자신의 서한을 통해 우리의 말을 통제하는 것의 중요성을 가르쳤다. 이 과는 여러분이 자신이 하는 말, 그리고 자신의 말이 구주를 더욱 닮아 가기 위한 여러분의 노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마련되었다.

말의 힘

아래 그림을 보면서 인물들이 어떤 대화를 하고 있을지 상상해 본다. 우리가 듣고 사용하는 말이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해 생각해 본다.

이미지
A mother argues with her teenage son while they stand in their kitchen.
이미지
A young woman and her mother using a tablet and scriptures probably study and having a conversation.
  • 다른 사람의 말이 여러분에게 도움이 되거나 상처를 준 일 중에 마지막으로 기억나는 일은 무엇인가?

  • 여러분이 다른 사람에게 힘을 주거나 격려를 해 주었던 마지막 된 말은 무엇인가?

여러분이 최근에 다른 사람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는 말을 한 적이 있는지 생각해 본다. 야고보의 가르침을 공부하면서 말의 힘을 더 잘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진리를 찾아본다. 좀 더 구주와 같이 말하도록 여러분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감정, 생각, 느낌에 주목한다.

혀는 곧 …

야고보는 우리가 듣고 하는 말의 힘을 강조하면서 혀를 여러 가지 사물에 비유했다. 야고보서 3장 2~12절 을 읽으면서 야고보가 혀를 무엇에 비유했는지 찾아본다. 야고보의 비유 중 한두 가지를 학습 일지에 간단히 그리고, 우리의 말이 자신의 그림과 얼마나 유사한지 깊이 생각해 본다.

다음 목록을 읽으면서 동일한 비유를 찾았는지 확인한다.

1. 다음 질문에 대한 답을 학습 일지에 적는다.

  • 이러한 비유는 우리가 듣고 하는 말의 힘을 더 잘 이해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는가?

  • 우리가 하는 말의 영향력을 설명하기 위해 어떤 다른 비유를 추가할 수 있을까?

십이사도 정원회의 제프리 알 홀런드 장로는 야고보의 강력한 가르침을 언급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씀했다.

이미지
Official Portrait of Elder Jeffrey R. Holland. Photographed January 2018.

야고보가 말하고자 하는 것이 우리의 혀는 한결같이 사악하다거나 우리가 말하는 모든 것은 “치명적인 독[으로] 가득”하다는 것이 아님은 분명합니다. 하지만 그는 우리가 하는 말의 일부가 파괴적이며, 심지어 독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분명히 말합니다. 후기 성도에게 이것은 놀랍고도 우려되는 비난이 아닐 수 없습니다! 진지한 간증을 나누고 열의에 찬 기도를 드리며 시온의 찬송가를 부르는 음성은 또한 질책하고 비판하고 곤란에 빠뜨리고 품위를 손상시키며 고통을 주고, 또 그 과정에서 자신과 다른 사람들의 영을 파괴하는 음성이 될 수도 있습니다. …

… 앞으로 적어도 이 한 가지, 즉 말로 상처를 주지 않음으로써, 또는 긍정적인 방식으로 말하자면 새 방언, 즉 천사의 방언으로 이야기함으로써 “온전한” 남자와 여자가 되도록 노력합시다. 우리의 말도 우리의 행동처럼 오늘날의 세상이 절실히 필요로 하는 … 신앙, 소망, 사랑으로 가득 차야 합니다. 영의 영향을 받은 말들로 인해 눈물이 그치고, 마음이 치유되며, 삶이 고양되고, 희망이 되살아나며, 자신감이 커질 수 있습니다.

(제프리 알 홀런드, “천사의 방언”, 『리아호나』, 2007년 5월호, 16, 18쪽)

  • 여러분은 야고보의 비유와 홀런드 장로의 말씀에서 무엇을 배웠는가?

우리가 배울 수 있는 한 가지 진리는 다음과 같다. 하나님을 따르는 사람들은 악을 퍼뜨리기 위해서가 아니라 의로운 목적을 위해 언어를 사용하고자 노력한다.

다음 상황에서 언어가 선한 방향과 악한 방향으로 사용된 경우를 둘 다 생각해 본다.

  • 문자를 주고 받거나 소셜 미디어에서

  • 주일마다 교회에서

  • 학교에서 친구들과 어울릴 때

  • 팀 또는 클럽 활동을 할 때

  • 집에서 가족들과 시간을 보낼 때

  • 여러분은 말이 선한 방향 또는 악한 방향으로 사람들에게 미칠 수 있는 강한 영향력을 보여 주는 어떤 경험을 하였는가?

예수 그리스도는 “온전한 사람”( 야고보서 3:2)이셨으며, 그분이 하신 말을 비롯해 모든 면에서 우리의 모범이셨다. 그분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을 떠올리면서, 만약 구주께서 앞서 언급된 상황에 계셨다면 어떻게 말을 하셨을지 상상해 본다.

2. 다음 질문에 대한 답을 학습 일지에 적는다.

  • 구주께서 사용하실 것 같은 언어와 오늘날 이러한 상황에서 여러분이 흔히 보고 듣는 언어 사이에는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

우리가 듣고 사용하는 언어

주님은 당신의 선지자들을 통해 우리가 해야 할 말과 하지 말아야 할 말을 가르쳐 주셨다.

『청소년의 힘을 위하여』([소책자, 2011], 20~21쪽)에서 발췌한 다음 10가지 문장을 읽으면서 자신의 소통(문자 메시지, 소셜 미디어, 타인과의 대화 등 형태 무관)을 숙고해 본다. 1부터 5까지의 척도를 사용하여 자신의 언어 생활을 평가한다. 1은 “도움이 많이 필요하다”를 의미하고, 5는 “매우 잘 하고 있다”를 의미한다.

1. 나는 깨끗하고 지적인 언어를 사용하려고 노력한다.

2. 나는 북돋아 주고 격려하며 칭찬하는 언어를 사용한다.

3. 나는 타인에 대해 친절하고 긍정적으로 말한다.

4. 나는 설사 농담일지라도 다른 사람을 모욕하거나 비하하지 않는다.

5. 나는 어떤 종류의 험담이나 분노를 표출하는 언어를 삼간다.

6. 나는 거칠고 상처가 되는 말들을 하고 싶을 때에도 입 밖으로 꺼내지 않는다.

7. 나는 언제나 경건하고 존경하는 마음으로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을 사용한다.

8. 나는 경건하고 존중하는 언어로 하나님 아버지께 말씀드린다.

9. 나는 하나님을 모독하거나 상스럽고 천박한 언어 또는 몸짓을 사용하지 않는다.

10. 나는 부도덕한 행위에 관한 농담이나 이야기하지 않는다.

여러분이 선택하는 언어를 떠올리면서 무엇을 더 잘 할 수 있을지 깊이 생각해 본다.

3. 다음 질문에 대한 답을 학습 일지에 적는다.

  • 여러분이 하고 듣는 말을 더욱 신중하게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될 만한 한두 가지는 무엇인가?

  • 여러분은 어떤 상황에서 특히 나아지고자 하는가?

  • 어떤 전략이 도움이 되겠는가?

  • 여러분의 노력이 구주를 더욱 닮아 가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될까?

선택 사항: 더 배우고 싶은가?

우리가 개인으로서 갖는 정체성은 우리의 말에 어떻게 나타나는가?

칠십인 정원회의 로버트 에스 우드 장로는 다음과 같이 가르쳤다.

이미지
Final official portrait of Elder Robert S. Wood of the Second Quorum of the Seventy, 1999. Called as president of the Boston Massachusetts Temple, 2009. Released from Second Quorum of the Seventy October 3, 2009 at general conference.

우리의 말과 외적 표현은 중립적이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이러한 것들은 우리가 누구인지를 나타낼 뿐 아니라, 앞으로 어떤 사람이 될 것인지를 반영하기 때문입니다. …

우리의 말과 몸가짐은 우리 내면의 인품을 드러낼 뿐 아니라 우리의 인품을 형성하며, 나아가 우리 주변의 사람들과 전체 사회에 그 영향을 미칩니다. 우리는 모두 저마다 빛을 가리거나 혹은 어둠을 몰아내는 일에 연루되어 있습니다. 우리는 빛을 이끌어 오고 빛이 됨으로써 자신을 성결케 하고 다른 사람들을 고양하도록 부름을 받았습니다. …

우리는 말하고 행동할 때, 우리의 삶에 하늘의 권세를 불러들이고 그리스도께로 나아오도록 모든 사람을 초대하려는 목적으로 우리의 말과 표현이 사용되는지 자문해 보아야 합니다. 우리는 신성한 것들을 경건하게 대해야 합니다. 우리의 대화에서 저속하고 음란하며, 폭력적이고 위협적이며, 품위를 떨어뜨리고 거짓된 것들을 제거할 필요가 있습니다. 사도 베드로가 기록하였듯이 “오직 너희를 부르신 거룩한 이처럼 너희도 모든 행실에 거룩한 자가 되”어야 합니다.( 베드로전서 1:15) 여기서 행실이라는 표현은 말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모든 행동거지를 의미합니다.

(로버트 에스 우드, “천사의 방언”, 『리아호나』, 2000년 1월호, 101~102쪽)

어떻게 하면 우리가 사용하고 듣는 말을 긍정적으로 바꿀 수 있는가?

ChurchofJesusChrist.org에서 동영상 “욕 안하기 동아리”(4:56)을 시청하고, 다른 사람들이 욕설을 하지 않도록 도우려는 한 청남의 노력을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