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나리
마태복음 11:28~30


마태복음 11:28~30

“내가 너희를 쉬게 하리라”

이미지
마리아와 마르다를 위로하시는 예수님

구주께서는 성역을 베푸시는 동안 더 높은 복음의 율법을 가르치시고 병든 사람을 고치셨다. 구주와 그분의 가르침에 대한 반대가 심해지고 있었으나 구주께서는 간악함을 꾸짖으셨으며 당신께 나아오는 모든 이들을 쉬게(rest) 할 것이라고 약속하셨다. 여러분은 이 과를 공부하면서 여러분이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그리고 여러분의 짐이 가벼워지도록 주님께서 도와주실 것이라는 확신을 키우게 될 것이다.

여러분의 짐과 어려움

십 대 청소년 한 사람을 그린다.(간단하게 막대 그림으로 표현) 그 청소년의 등에 배낭을 그린다. 이 배낭은 오늘날 청소년들에게 주어지는 짐과 스트레스를 나타낸다. 배낭 내부, 표면, 또는 주변에 이런 짐과 스트레스에 해당하는 것을 최소 5가지 적는다.

이미지
배낭을 짊어지고 있는 사람의 그림(막대 그림)
  • 1에서 5까지의 척도로 평가했을 때, 여러분은 자신의 짐과 스트레스에 얼마나 잘 대처하고 있다고 느끼는가?(5점은 매우 잘함을, 1점은 전혀 못함을 나타낸다)

아직 기도를 하지 않았다면, 지금 잠시 시간을 내서 여러분이 현재 지고 있는 구체적인 짐과 관련해 도움이 될 수 있는 원리를 찾을 수 있도록 하나님 아버지께 도와달라고 간구한다. 마태복음 11장 28~30절을 읽으면서, 무거운 짐에 눌린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구주께서 가르치신 진리를 찾아본다.

마태복음 11장 28~30절은 교리 익히기 성구이다. 교리 익히기 성구들을 나중에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눈에 띄게 표시해 두면 좋을 것이다.

  • 어떤 진리들을 발견했는가?

  • 이런 진리들은 어려운 시기를 겪고 있는 사람에게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을까?

“나의 멍에를 메고”

때로는 경전에 나오는 단어나 문구를 이해하기 어려울 때도 있다. 단어와 문구의 의미를 배우면 구주께서 알려 주시고자 하는 것을 배우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나의 멍에를 메고”라는(마태복음 11:29) 문구를 가지고 이것을 연습해 본다.

이미지
두 마리 소가 끄는 수레를 모는 남성

멍에는 “함께 묶기 위해 동물이나 사람의 목에 두르는 장치”이다.(경전 안내서, “멍에”, scriptures.ChurchofJesusChrist.org) 이 사진에서는 동물들이 멍에를 메고 있다.

칠십인 정원회의 에드워드 듀브 장로는 다음과 같은 경험을 나누었다.

이미지
에드워드 듀브 장로

2015년 12월, 짐바브웨 마드지바에서 제 아내 나우메와 저는 한 남자가 황소 두 마리와 함께 밭을 가는 것을 보았습니다. 한 마리는 몸집이 매우 큰 황소였고, 다른 한 마리는 몸집이 작은 송아지인 것을 보고 저는 놀랐습니다. 당혹스러웠습니다. 저는 의아해서 “왜 저 농부는 크기가 다른 두 마리 소에 멍에를 메게 하고 밭을 가는 거지?”라고 말했습니다.

그때 곁에 있던 장모님이 멍에를 가리켰습니다. 더 자세히 보니 멍에를 연결했던 줄이나 사슬 같은 자국이 송아지 몸에 나 있었습니다. 커다란 황소가 모든 무게를 감당하고 있었고, 조그마한 송아지는 옆에서 거들며 밭 가는 법을 배우고 있었습니다.

(Edward Dube, “Learn of Me,” Liahona, Oct. 2020, Africa Southeast Local Pages, ChurchofJesusChrist.org)

  • 구주와 우리의 관계가 커다란 황소와 작은 송아지의 관계와 어떻게 비슷할 수 있는가?

  • 멍에의 의미를 알면 그리스도께서 여러분에 관해 어떻게 느끼시는지를 어떻게 더 깊이 이해하게 되는가?

십이사도 정원회의 데이비드 에이 베드나 장로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이미지
데이비드 에이 베드나 장로

성스러운 성약을 맺고 지킨다는 것은 우리를 주 예수 그리스도께 단단히 묶고 그분이 메신 멍에를 함께 멘다는 뜻입니다.

(데이비드 에이 베드나, “쉽게 그들의 짐을 지게 하시매”, 『리아호나』, 2014년 5월호, 88쪽)

  • 성약을 맺고 지키는 것이 어떻게 우리를 구주의 멍에에 묶고 또 함께 멍에를 지는 것이라고 생각하는가?

듀브 장로는 이에 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이미지
에드워드 듀브 장로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와 함께 멍에를 멜 때, 그분이 짐을 지시고, 우리는 수고의 즐거움을 나눕니다. 주님께서 우리 각 사람에게 주시는 그분에게서 배우라는 권유는 평안과 기쁨을 가져다주고 또 괴로운 마음에 해답을 주는 유일하고도 확실한 근원입니다.

(Edward Dube, “Learn of Me,” Liahona, Oct. 2020, Africa Southeast Local Pages, ChurchofJesusChrist.org)

  • 올해 예수 그리스도에 관해 배운 내용은 여러분이 자신의 짐을 지는 데 어떻게 도움을 주었으며, 또 어떻게 평안과 기쁨을 가져다주었는가?

그리스도께 나아와 그분의 안식을 받음

1. 학습 일지에서 활동 A 또는 B를 완료한다. 선택한 활동과 관련된 유의 사항을 따른다.

활동 A: “내게로 오라.”(마태복음 11:28) 나는 예수 그리스도께 어떻게 나아갈 수 있는가?

구주의 도움과 그분이 주시는 안식을 받으려면 그분께 나아가야 한다.

  • 그리스도께 나아간다는 말이 무슨 뜻인지 질문을 받으면, 어떻게 대답하겠는가?

십이사도 정원회의 리차드 지 스코트(1928~2015) 장로는 그리스도께 나아갈 수 있는 여러 방법에 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이미지
리차드 지 스코트 장로

아침 저녁으로 꾸준히 기도하고, 매일 경전을 공부하고, 매주 가정의 밤을 하고, 성전에 정기적으로 참석할 때, 우리는 “[내게로] 오라”는 그분의 초대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것입니다.

(리차드 지 스코트, “신앙을 행사하는 일을 최우선에 두십시오”, 『리아호나』, 2014년 11월호, 94쪽)

Come unto Christ: 2014 Theme Song(그리스도께 나아오라: 2014 주제곡)”(4:48) 동영상을 시청하면서 구주께 나아가는 방법의 사례들을 살펴볼 수 있다. 이 동영상은 ChurchofJesusChrist.org에서 시청할 수 있다.

2. 다음 질문들에 대한 답을 학습 일지에 적는다.

  • 예수 그리스도께 더 가까이 나아가기 위해 여러분은 어떤 일들을 했는가? (여기에는 성약을 맺고 지킨 것도 포함될 수 있다.)

  • 그리스도께 더 온전히 나아가서 그분의 신성한 도움을 받기 위해 여러분은 무엇을 할 수 있다고 느끼는가?

활동 B: “내가 너희를 쉬게 하리라.”(마태복음 11:28) 그리스도께서는 어떻게 나의 짐을 덜어 주실 수 있는가?

몰몬경에는 짐을 덜어 주시는 구주에 대한 훌륭한 사례가 기록되어 있다. 앨마와 그의 백성들은 포로로 붙잡히고, 강제 노동을 하고, 심한 박해를 받았다.

모사이야서 24장 12~16절을 읽는다. 또한 동영상 “제17장: 앨마와 그의 백성들이 달아남”의 0:01~1:29 구간을 시청할 수도 있다. 이 동영상은 ChurchofJesusChrist.org에서 시청할 수 있다.

3. 학습 일지에 다음 질문과 쓰기 지시문에 대한 대답을 적는다.

  • 구주께서 여러분이 짐을 지고 가는 일을 도우시는 방식에 관해 무엇을 알게 되었는가?

  • 앨마의 백성들은 구주의 도움을 받기 위해 무엇을 했는가?

  • 구주께 도움을 청하는 우리의 역할을 이해하는 것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에게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을까?

여러분이나 지인들의 경험 중 구주께서 짐을 덜어 주셨던 일에 대해 생각하고 기록한다. 이때 여러분 또는 지인이 구주께 도움을 청하기 위해 무엇을 했는지 또 그분이 어떻게 도와주셨는지도 함께 적는다.

선택 사항: 더 알아보기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우리가 그분께 나아가도록 어떻게 도와주시는가?

존 에이 맥큔 장로는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께 나아갈 때 주어질 수 있는 축복 몇 가지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이미지
존 에이 맥큔

우리가 “내게로 오라”는 구주의 권유를 받아들인다면,(마태복음 11:28) 그분께서는 … 필요한 도움과 위안과 평안을 주실 것입니다. 구주를 신뢰하고 그분의 뜻을 받아들일 때, 우리는 가장 극심한 시련 중에도 우리를 따스하게 감싸는 그분의 사랑을 느낄 수 있습니다.

(존 에이 맥큔, “그리스도에게로 나아오라—후기 성도로서의 삶”, 『리아호나』, 2020년 5월호, 36쪽)

동영상 “Living with Depression[우울증과 함께 살아가는 것]”(3:13)에는 우리가 힘든 시련에서 벗어나지 못할지라도 예수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어떻게 도우실 수 있는지에 관한 예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