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나리
마태복음 3장 1~12절; 마가복음 1장 1~8절


마태복음 3장 1~12절; 마가복음 1장 1~8절

“너희는 주의 길을 준비하라”

이미지
John the Baptist and a woman standing in the river Jordan with a group of people watching in the foreground. Outtakes include John the Baptist helping a woman into the water, and various scenes from a distance and close up.

예수 그리스도께서 대중에게 성역을 시작하시기 전에 침례 요한은 사람들을 준비시켜 구주를 받아들이고 따르게 하고자 했다. 이번 과에서 여러분은 어떻게 구주를 받아들이고 따랐는지, 어떻게 하면 그분을 더 잘 받아들이고 따를 수 있는지, 그리고 다른 사람들이 그분을 받아들이고 따르도록 준비시키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생각해 보게 될 것이다.

예수 그리스도를 위하여 준비함

중요한 여행을 하고 있는데 가는 길에 장애물이 있다고 상상해본다. 여러분이라면 어떻게 하겠는가? 돌아서겠는가? 장애물을 넘어가거나 빙 돌아서 가겠는가? 다음에 오는 사람을 위해 장애물을 치우려고 하겠는가? 여러분보다 먼저 온 누군가가 이미 가장 해결하기 어려운 장애물 가운데 많은 부분을 치워 버렸다는 것을 발견했다고 상상해본다.

  • 여러분을 위하여 길을 준비해 준 사람들에게 어떤 마음이 들겠는가?

오늘 여러분은 침례 요한에 대해 공부하게 될 것이다. 그의 임무는 구주를 받아들이고 따르도록 사람들을 준비시키는 것이었다.( 누가복음 1:17 참조)

  • 여러분의 삶에서 구주를 받아들이고 따르는 길을 준비하도록 누가 여러분을 도와주었는가?

  • 현재 여러분의 삶에서 구주께서 더욱 함께하시도록 누가 길을 준비해 주고 있는가?

  • 여러분이 구주를 받아들이고 따르는 데 도움이 된 것은 무엇인가?

이번 과를 공부하면서, 자신이나 다른 사람들이 그분을 받아들이고 따르는 데 여전히 방해가 되는 장애물은 무엇인지, 그리고 이러한 장애물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은 무엇일지 생각해 본다.

마가복음과 침례 요한의 사역 소개

마가는 침례 요한의 이야기로 복음서를 시작했다. 마태나 요한과 달리 마가는 예수 그리스도의 사도가 아니라 나중에 개종한 사람이었다. 마가는 사도 베드로의 지시에 따라 복음서를 기록했을 것이다. 마가복음에서 마가는 이방인 청중들을 대상으로 글을 썼으며, 구주께서 말씀하신 내용보다는 구주께서 행하신 업적을 더 강조했다.

마가복음 1장 1~8절 을 읽으면서, 다른 사람들이 예수 그리스도를 받아들이고 따를 준비를 하도록 침례 요한이 어떻게 도와주었는지 찾아본다.

경전 학습 도구

몇 가지 학습 도구와 방법을 사용하면 학습이 향상될 수 있다. 경전의 기사를 더 잘 공부하기 위해 다른 복음서의 저자들이 쓴 동일한 기사를 살펴본다.

다른 복음 기록에서 같은 사건에 대해 읽으면 학습에 도움이 되는 경우가 많다. 마태복음 3장 7~12절 을 읽고, 침례 요한의 성역에 관해 자세한 내용을 더 찾아본다. 구주께서 활동하시던 시대에 살았던 성약의 이스라엘 백성들 중에는 매우 자고하여 여호와의 가르침을 외면하는 이들이 많았다. 어떤 이들은 아브라함의 후손이라는 것 자체만으로도 자신들이 구원을 받기에 충분하다고 믿었다.

1.

  • 침례 요한은 백성들이 구주를 받아들이고 따르도록 준비시키기 위해 무엇을 했는가?

  • 침례 요한에 관한 마태의 기록도 함께 공부하면서 얻을 수 있었던 추가적인 통찰은 무엇인가?

  • 우리 시대에도 하나님 아버지께서는 여전히 구주를 받아들이고 따르도록 사람들을 준비시키려 노력하신다는 증거로 어떤 증거들을 보았는가?

구주를 받아들이고 다른 사람들도 그분을 받아들이도록 도움

다음 활동 중 하나를 완료한다. 어떻게 하면 자신이 구주를 더 온전하게 받아들이고 따를 수 있을지, 그리고 다른 사람들도 그렇게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을지 생각해 본다.

2. 선택한 활동을 확인하고 해당 질문에 대한 답을 기록한다.

활동 A: 학습 일지 기록하기

구주를 받아들이고 따르는 데 도움이 된 경험을 되돌아보고 그것을 학습 일지에 기록한다. 그 기록에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예수님의 가르침대로 생활하는 데 더욱 전념할 수 있도록 도와준 것이 무엇인지 포함시킬 수도 있다. 그런 후, 다음 질문에 답한다.

  • 하나님 아버지께서는 여러분이 장차 예수 그리스도를 더 잘 받아들이고 따르게 하기 위해 여러분에게 무엇을 하도록 권하시리라고 생각하는가?

  • 다른 사람들이 예수 그리스도를 받아들이고 따르도록 돕기 위해 여러분이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가?

활동 B: 연차 대회 검색하기

가장 최근의 연차 대회에서 배운 것을 떠올린다. 가능하다면, 연차 대회 말씀을 한두 편 살펴보면서 예수 그리스도를 더욱 온전하게 받아들이고 따르는 데 도움이 될 메시지를 찾아본다.

  • 현대의 선지자들은 여러분이 구주를 더욱 온전하게 받아들이고 따르도록 돕기 위해 최근에 무엇을 가르쳤는가?

  • 어떻게 하면 선지자들의 가르침 중 하나를 자신의 삶에 적용하거나 다른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는가?

활동 C: 경전 검색하기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해서 예수 그리스도를 받아들이고 따르도록 인도를 받았는지 더 잘 이해하기 위해 경전을 활용한다. 예를 들어 몰몬경의 이노스서 1:2~8 ; 모사이야서 5:1~2, 5 ; 앨마서 22:17~18, 22~23 ; 또는 힐라맨서 5:28~30, 40~42 등과 같은 실례들을 공부할 수 있다.

  • 공부한 성구에서 무엇을 배웠는가?

  • 여러분이 구주를 더 온전히 받아들이고 따르거나 다른 사람들도 그와 같이 하도록 돕는 데 이러한 통찰이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는가?

선택 사항: 더 많은 것을 배우고 싶은가?

마가는 어떤 사람이었는가?

마가(요한 마가라고도 불림)는 예수 그리스도의 초기 제자들 중 하나는 아니었으나, 후에 개종하여 구주의 여러 사도들과 긴밀히 협력하였다. 베드로가 그를 “내 아들 마가”( 베드로전서 5:13)라고 언급한 점으로 미루어 두 사람의 관계가 친밀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마가는 로마인, 다른 이방 국가, 그리고 기독교로 새롭게 개종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짧은 복음서를 기록했을 것이다. 마가는 또한 바울의 첫 선교 여행에서 한동안 그와 함께 봉사했다.( 사도행전 12:25 참조)

마가복음의 뚜렷한 특징은 무엇인가?

마가복음은 갑작스럽고도 극적으로 시작되며, 사건들의 진행이 빠른 속도로 이어진다. 마가는 , 즉시라는 단어를 자주 사용하여 빠른 속도와 행동의 효과를 느끼게 해 주었다.마가복음에서 다룬 중요한 주제 중에는 예수님이 누구이셨으며, 누가 그분의 정체성을 이해했는지에 대한 질문뿐만 아니라 그분의 제자들은 “자기 십자가를 지고 [예수님을] 따[라야]”( 마가복음 8:34) 한다는 제자의 본분도 포함되어 있다. 또한 저절로 자라나는 씨의 비유( 마가복음 4:26~27 참조), 데가볼리 지방에서 귀먹은 사람을 고치신 일( 마가복음 7:31~37 참조), 그리고 벳새다에서 맹인을 고치신 일( 마가복음 8:22~26 참조)은 마가복음에만 기록되어 있다.

마가복음 1장 8절 . 성신의 침례란 무엇인가?

침례 요한은 자신은 물로 침례를 베풀지만 예수님은 “성신으로 … 침례를 베푸신다”고 선언했다.( 마가복음 1:8) 이러한 성신과 불의 침례는 침례를 받은 후 확인을 받고 그런 다음 성신의 동반하심을 받는 결과를 언급하는 것이다. 그러면 성신은 우리를 깨끗하게 하고 정결하게 하시는데, 이는 마치 불의 정화 효과와 흡사하다.

마태복음 3장 7절 . 바리새인과 사두개인은 어떤 사람들이었는가?

바리새인은 유대교 종파의 일원으로, 자신들이 모세의 율법을 엄격하게 지킨다는 사실을 자랑스러워했다. 그들은 여러 의례적인 행위를 준수하는 것으로 종교를 축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사두개인은 부유한 유대인 계층으로, 종교적으로도 정치적으로도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들은 부활의 교리를 믿지 않았다. 두 종파 모두 하나님의 율법이 본래 의도하는 바에서 벗어나 있었으며, 그중 다수가 하나님의 선지자인 침례 요한의 메시지를 받아들이지 않으려 했다.

(『와서 나를 따르라—개인 및 가족: 2019 신약전서』, 19)

마태복음 3장 12절 . 키, 타작 마당, 밀, 쭉정이는 무엇을 의미하고 상징하는가?

마태복음 3장 12절 에 나오는 ‘키’는 밀을 공중으로 쳐올려서 까부르는 도구이다. 가벼운 쭉정이는 바람에 날려 가고 밀 알갱이는 땅으로 떨어진다. 그런 후 밀은 모아서 곳간으로 들이고 쭉정이는 불에 태웠다. 침례 요한은 자기 뒤에 오실 구주께서 밀과 쭉정이를 분리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믿는 자들과 믿지 않는 자들을 분리하실 것이라고 가르쳤다.

(『신약전서 학생 교재』 [2018], ChurchofJesusChrist.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