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나리
마태복음 7:1~5


마태복음 7:1~5

구주께서 제자들에게 의롭게 비판하라고 가르치셨다

이미지
Jesus Christ sitting on a rock on the shores of the sea of Galilee. Numerous people are gathered around Him. The people are listening to Christ preach. (Mark 4:1) (Luke 5:1)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산상수훈을 말씀하시면서 제자들에게 의롭게 비판하라고 가르치셨다. 이 과에서 여러분은 의로운 비판을 하는 것에 관해 배우게 될 것이다.

Read the following scenarios, thinking about what kind of judgments someone might make in each situation.

  • 많은 십 대가 지혜의 말씀에 반하는 물질을 사용하는 파티에 누군가가 여러분을 초대한다.

  • 여러분과 다른 기준에 따라 사는 사람이 여러분과 가까운 친구가 되고 싶어 한다.

  • 여러분의 와드에 속한 한 회원이 안식일에 여러분의 가족이 하는 것과는 다른 활동을 한다.

  • 여러분은 친구가 외설물을 보는 습관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번 과에서 여러분은 의롭게 비판하는 법을 배우게 된다. 여러분은 이러한 시나리오에 관한 생각을 다시 살펴보고 배운 내용을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될 것이다.

  • 비판에 관해 어떤 점이 궁금한가?

오늘 공과를 공부하면서 자신이 비판에 관해 어떻게 느끼는지를 생각하며 성신의 속삭임에 귀를 기울인다. 비판에 관한 구주의 가르침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받은 느낌을 기록한다. 마태복음 7장 1절 을 읽는다. 이 구절은 종종 구주께서 우리가 아예 비판을 해서는 안 된다고 가르치신 것으로 오해받는다. 이제 이 구절에 대한 조셉 스미스 역을 읽어 본다.(조셉 스미스 역, 마태복음 7:1~2)

  • 조셉 스미스 역은 어떻게 구주께서 비판에 관해 가르치신 것을 더 잘 이해하게 해 주는가?

  • 의롭게 비판한다는 것은 무슨 뜻이라고 생각하는가?

다음 문장을 읽는다.

Judgment is an important use of our agency and requires great care, especially when we make judgments about other people. All our judgments must be guided by righteous standards. Only God, who knows each individual’s heart, can make final judgments of individuals.

Sometimes people feel that it is wrong to judge others in any way. While it is true that we should not condemn others or judge them unrighteously, we will need to make judgments of ideas, situations, and people throughout our lives. …

… As much as we can, we should judge people’s situations rather than judging the people themselves. Whenever possible, we should refrain from making judgments until we have an adequate knowledge of the facts. And we should always be sensitive to the Holy Spirit, who can guide our decisions.

(Gospel Topics, “Judging Others,” topics.ChurchofJesusChrist.org)

이미지
Hand holding mustard seed.
  • 이 말씀 가운데 어느 단어나 문구가 의로운 비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가?

이미지
An old hewn oak beam or post photographed against a white background. (vert)

마태복음 7장 2~5절 을 읽으면서 비판에 관한 가르침을 찾아본다. 3절 에서 구주께서는 나뭇조각을 로 그리고 커다란 나뭇조각을 들보로 언급하셨다.

  • 왜 눈에 들보가 있는 사람은 다른 사람의 눈에 있는 티를 제거하는 것이 어려울까?

  • 구주께서 들보와 티의 비유를 통해 가르치고자 하신 것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학생들은 다음 원리 중 일부를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다른 사람들을 판단하는 방식은 우리가 구주께 판단받는 방식에 영향을 줄 것이다.

우리가 자기 죄와 약점을 보고 회개하는 데 초점을 맞추면, 다른 사람들을 불의하게 판단할 가능성이 더 적어질 것이다.

우리가 자기 죄를 회개하고 나면 다른 사람들을 더욱 잘 도울 수 있다.

학생들이 이 원리나 다른 원리들을 언급할 때, 학생들의 말을 그대로 사용하여 칠판에 쓴다.

  • 우리가 이 가르침을 기억하는 것은 왜 중요한가?

  • 이 가르침을 통해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에 관해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구주께서 가르치신 또 다른 진리의 예시를 보려면 ChurchofJesusChrist.org에서 볼 수 있는 “창을 통해 보기”(2:19)를 시청한다.

  • 비판에 관한 그리스도의 가르침에 따라 사는 것이 때로 어려운 이유는 무엇일까?

  • 어떻게 하면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하늘에 계신 아버지의 도움을 받아 이 원리들을 여러분의 삶에 적용할 수 있는가?

수업을 시작할 때 보았던 시나리오들 가운데 하나를 고르거나 그와 유사한 시나리오를 생각해 본다.

이미지
Official Portrait of President Dallin H. Oaks taken March 2018.

There are two kinds of judging: final judgments, which we are forbidden to make, and intermediate judgments, which we are directed to make, but upon righteous principles. …

… Let us consider some principles or ingredients that lead to a “righteous judgment.”

First, a righteous judgment must, by definition, be intermediate. It will refrain from declaring that a person has been assured of exaltation or from dismissing a person as being irrevocably bound for hellfire. …

Second, a righteous judgment will be guided by the Spirit of the Lord, not by anger, revenge, jealousy, or self-interest. …

Third, to be righteous, an intermediate judgment must be within our stewardship. We should not presume to exercise and act upon judgments that are outside our personal responsibilities. …

Fourth, we should, if possible, refrain from judging until we have adequate knowledge of the facts. …

A fifth principle of a righteous intermediate judgment is that whenever possible we will refrain from judging people and only judge situations.

(Dallin H. Oaks, “‘Judge Not’ and Judging,” Ensign, Aug. 1999, 7, 9–11)

  • 어떤 시나리오를 선택했는가?

  • 여러분은 이 상황에서 어떤 의로운 비판을 해야 하는가?

  • 여러분은 어떤 비판을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는가?

  • 구주의 가르침을 따라 어떻게 공정하고 자비로운 판단을 내릴 수 있는가?

  • 자기 죄와 약점을 기억하는 것이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을까?

자원하는 학생들에게 의견을 이야기해 보라고 한다. 학생들의 대답을 세심하게 듣고 그들이 얼마나 잘 배웠는지 평가해 본다.

때로 사람들은 마태복음 7장1~5절 에 나온 구주의 가르침이 우리가 결코 비판을 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추정한다. 제일회장단의 댈린 에이치 옥스 회장은 비판하도록 격려할 만한 비판의 종류가 있다고 분명히 말했다.

2.

다음 질문을 깊이 생각해 본다.

  • 어떤 것을 비판하고, 또 어떤 것을 비판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는가?

  • 의로운 비판에 관해 이번 수업에서 무엇을 배웠는가? 배운 내용이 어떻게 여러분이 좀 더 구주께서 보시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다른 사람들이나 여러분 자신을 보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되는가?

  • 비판에 관한 여러분의 질문들에 대해 어떤 답변을 얻었는가? 답을 얻지 못한 질문이 있으면 연구를 계속하면서 성신으로부터 답을 구하도록 한다.

  • 여러분의 삶에서 남을 덜 비판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의롭게 비판하는 것에 대해 간증하는 것을 고려해 본다.

이미지
Official portrait of Elder Dale G. Renlund of the Quorum of the Twelve Apostles, January 2016.

To be Christlike, a person loves mercy. People who love mercy are not judgmental; they manifest compassion for others, especially for those who are less fortunate; they are gracious, kind, and honorable. These individuals treat everyone with love and understanding, regardless of characteristics such as race, gender, religious affiliation, sexual orientation, socioeconomic status, and tribal, clan, or national differences. These are superseded by Christlike love.

(Dale G. Renlund, “Do Justly, Love Mercy, and Walk Humbly with God,” Ensign or Liahona, Nov. 2020, 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