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자료
멜기세덱 신권


“멜기세덱 신권,” 신앙에 충실함 (2004), 57–58

“멜기세덱 신권,” 신앙에 충실함, 57–58

멜기세덱 신권 Melchizedek Priesthood

“교회에는 두 가지 신권이 있나니, 곧 멜기세덱 신권과 … 아론 신권이니라.”(교성 107:1) “하나님의 아들의 반차를 좇는”(교성 107:3) 멜기세덱 신권은 두 신권 중 대신권이다. 그것은 “감리하는 권리를 지니나니, 세상의 모든 시대에 있어서 교회 안에 있는 모든 직분에 대한 권능과 권세를 가지고 있”(교성 107:8)다. 그것은 또한 “교회의 모든 영적 축복의 열쇠를”(교성 107:18) 갖고 있다. 그것의 이름은 선지자 아브라함 시대에 살았던 위대한 대제사의 이름을 딴 것이다.(교성 107:2~4 참조; 또한 앨마서 13:14~19 참조)

교회 지도자들은 멜기세덱 신권의 권세를 통해 교회를 인도하고 온 세계에 복음을 전파하는 일을 감독한다. 멜기세덱 신권의 의식에서는 “경건의 능력이 나타”(교성 84:20)난다.

대신권은 아담에게 주어졌으며 주님께서 복음을 회복하셨을 때에는 언제나 있었다. 그것은 대배도 기간 동안 지상에서 거두어졌었지만 1829년 5월에 사도 베드로, 야고보, 요한이 조셉 스미스와 올리버 카우드리에게 그것을 부여했을 때 다시 회복되었다.

멜기세덱 신권의 직분에는 사도, 칠십인, 축복사, 대제사 및 장로가 있다. 대신권의 회장은 회장이다.(교성 107:64~66 참조)

교회의 남성들은 성전 엔다우먼트를 받고 영원토록 가족에게 인봉되기 위해 합당한 멜기세덱 신권 소유자가 되어야 한다. 그들은 병자를 축복하고 가족과 다른 사람들에게 특별한 축복을 주기 위한 권세를 갖고 있다. 감리 신권 지도자의 승인을 받아 그들은 성신의 은사를 부여하고, 합당한 남자들을 아론 신권과 멜기세덱 신권의 직분에 성임할 수 있다.

남자가 멜기세덱 신권을 받을 때, 그는 신권의 맹세와 성약을 맺는다. 그는 충실하고, 부름을 영화롭게 하고, “영생의 말씀에 부지런히 주의를 기울이”고, “하나님의 입에서 나오는 모든 말씀으로 살아”가겠다고 맹세한다. 이 성약을 지키는 자들은 영에 의해 성결케 되고 “아버지께서 가지신 모든 것”을 받게 된다.(교성 84:33~44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