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서 및 부름
자신의 공과를 준비함


“자신의 공과를 준비함,” 교수법 지도서 (2001), 13–15

“자신의 공과를 준비함,” 교수법 지도서, 13–15

자신의 공과를 준비함

복음 원리를 가장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해서는 교사 자신이 가르칠 공과를 세심하게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의 제언들은 여러분이 공과를 준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미지
man preparing lesson

참고 자료를 파악함

교회는 경전과 말일의 예언자들의 가르침을 기초로 하여, 승인된 교과 과정 자료들을 신중하게 마련했다. 교사 여러분이 사용할 다음의 참고 자료들을 구입할 수 있는지 여러분의 신권 지도자나 보조 조직 지도자에게 물어 본다.

  • 교회가 출판한 교재로서 자신의 공과에 사용할 교사 교재

  • 반원들을 위한 성구가 적인 유인물

  • 말일의 예언자들의 가르침을 수록한 교회 잡지

  • 자국어로 쓰여진 경전 공부 보조 자료

  • 복음 그림 패킷. 이 패킷은 교회 집회소 도서실에 비치되어 있어야 함.

구입 가능한 자료들을 대충 살펴보고 공과에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계획을 세운다. 유능한 교사가 되기 위해서 자료에 너무 신경을 쓸 필요는 없다. 그리스도는 빈약한 자료를 가지고서도 많은 공과를 가르치셨다. 교사의 가르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영의 영향이다. 교육용 참고 자료를 적절히 사용하고 동시에 영의 인도를 받는다면 복음 학습에 최대의 효과를 가져다줄 것이다.

일찍 준비를 시작함

공과를 일찍 준비한다. 흔히 겪는 일이지만 가르치기 몇 주 전에 공부를 준비하면 도움이 된다. 이같이 하면 공과 주제에 관하여 생각하고 기도하고 또 충분히 준비할 시간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공과의 목적에 초점을 맞춤

교사가 가르치는 공과마다 목적이 있어야 한다. 예를 들면, 금식에 관한 공과의 목적은 회원들이 금식의 축복을 이해하고 또 금식 주일에는 특별한 목적을 위해 금식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돕는 것이다. 공과의 설명과 토론은 이 목적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공과의 목적을 결정하기 위해 먼저 공과 내용과 그에 따른 성구들을 공부한다. 이 공과에서 여러분이 가르치는 사람들에게 가장 중요한 메시지가 무엇인가를 여러분이 이해할 수 있게 도와 달라고 주님께 간구한다. 다음에는 여러분 자신에게 “내가 이 공과를 가르치면 그 결과 반원들의 생활에 어떠한 변화가 일어나야 하는가?” 하고 자문한다. 교회가 만든 교재들은 대부분의 공과 목적에 대한 설명을 싣고 있다. 이 목적 설명을 읽고 교사는 이 공과가 자신이 가르치는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주어야 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를 결정함

공과의 목적이 결정된 다음에는 이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어떤 원리를 가르쳐야 하는가를 결정한다. 대부분의 교재에는 공과를 가르치는 데 도움이 되는 성구, 이야기 및 기타 자료가 실려 있다. 그러나 어떤 공과는 주어진 시간에 다 가르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자료를 싣고 있다. 그런 경우에는 반원들에게 가장 많이 도움이 될 자료를 선택해야 한다. 교사는 이와 같이 자문한다. “이 공과에서 어떤 교리, 어떤 원리가 현재 반원들이 당면하고 있는 어려운 과제를 풀어 나가는 데 도움이 될 것인가?”

교재나 경전에 없는 자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대관장단 메시지, 방문 교육 메시지, 교회 잡지 등에 나오는 이야기나 말씀을 활용할 것을 고려해 본다. 특히 연차 대회 메시지를 활용한다.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를 결정할 때에는 다음과 같이 한다.

  • 공과의 내용을 기도하는 마음으로 공부한다.

  • 공과에 포함된 중요한 교리와 원리를 적어 놓는다.

  • 늘 자신이 가르치는 사람들의 필요 사항과 배경을 염두에 둔다.

  • 영의 인도에 따른다.

보통 주요 원리 한 두 가지에 초점을 두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를 결정함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를 결정한 다음에는 그것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를 결정해야 한다. 가르칠 내용을 공부하고 그것을 자신이 가르치는 사람들에게 설명할 좋은 방법을 기도하는 마음으로 깊이 생각한다. 교사가 사용할 방법은 반원이 교사가 가르치는 내용을 이해할 뿐만 아니라 적용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이라야 한다.

공과에서 토론되었던 성구와 이야기 및 기타 사항, 이 밖에 교리와 원리를 가르치는 데 도움이 될 다른 성구들을 주의 깊게 공부한다. 다음에는 이 성구들이 반원들의 생활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반원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니파이전서 19:23 참조)

교사 자신의 생활과 반원들의 생활에서 겪은 경험담과 사례들을 활용하는 것도 고려해 본다. 예를 들면, 어떤 십대 청소년은 신권회에서 지혜의 말씀에 관한 공과를 들은 후 담배를 끊었다. 그 공과의 교사가 자신의 친형제가 흡연 습관을 극복하기 위해 겪었던 경험담을 들려 주었다. 이는 흡연자도 자신의 습관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사례이다. 이 이야기는 그 신권회 반원에게 자기도 자신의 삶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결심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공과를 가르치는 데 도움이 될 교수법에 관하여는 이 교수법 지도서의 9~12쪽을 참조한다.

결론을 계획함

구세주께서는 흔히 자신이 가르치신 내용을 요약하고 나서 사람들에게 그 가르침을 그들의 생활에 적용할 것을 권고하셨다.(누가복음 10:30~37,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 참조) 교사도 공과를 마칠 때에는 자신이 가르친 내용을 복습하고 요약해야 한다. 그러고 나서 반원들에게 복음 교리 또는 원리를 그들의 생활에 적용하는 방법을 가르쳐 주고 그들도 다른 방법을 제안해 볼 것을 권유한다. 그렇게 말하고 나서 다음주 동안에는 이들 방법 중 어느 한 가지를 시험해 볼 것을 권유한다. 교사는 다음 공과에서 반원들에게 그들이 노력한 결과 무엇을 배웠느냐고 물어 볼 수 있다.

어떤 반원들은 1주일 동안 매일같이 자기 이름을 밝히지 않고 봉사를 하라는 권유를 교사로부터 받았다. 그 다음주 공과를 시작하는 시간에 교사는 반원들에게 자신들이 한 봉사에 대해 짧게 보고를 하라고 부탁했다. 그러자 반원 서너 명이 나와 자신들이 경험담과 이 공과를 실천함으로써 얻은 기쁨을 반원들에게 열성적으로 들려주었다. 이들의 적극적인 반응은 다른 사람들에게 자극을 주었고 그 것이 동기가 되어 다른 사람들도 이들보다 더 큰 봉사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