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서 나를 따르라
11월 9일~15일. 이더서 1~5장: “믿지 않음의 휘장을 … 찢어 버리[라]”


“11월 9일~15일. 이더서 1~5장: ‘믿지 않음의 휘장을 … 찢어 버리[라]’”, 『와서 나를 따르라—초등회: 2020 몰몬경』(2020)

“11월 9일~15일. 이더서 1~5장”, 『와서 나를 따르라—초등회: 2020』

이미지
광야를 여행하는 야렛 백성

바벨을 떠나는 야렛 백성, 앨빈 베셀카

11월 9일~15일

이더서 1~5장

“믿지 않음의 휘장을 … 찢어 버리[라]”

이더서 1~5장을 공부하며 배운 것을 다시 살펴볼 때, 어린이들이 어떤 진리를 발견하도록 돕고 싶은가? 본 개요에서 도움이 될 만한 아이디어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느낌을 기록한다

이미지
나누기 아이콘

나누도록 권유한다

야렛의 형제의 그림을 보여 준다.(『와서 나를 따르라—개인 및 가족』 교재의 이번 주 개요 참조) 어린이들에게 그에 대해 아는 대로 이야기해 보라고 한다.

이미지
가르치기 아이콘

교리를 가르친다: 나이가 어린 아이들

이더서 1:33~43; 2:16~25; 3:1~6

하나님 아버지는 내 기도를 듣고 응답하세요.

야렛의 형제의 일화는 우리가 기도할 때 하나님께서 우리를 도우실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을 알려 준다.

활동 아이디어

  • 외국어를 아는 와드 회원을 몇 명 초대하여 외국어로 문장을 몇 가지 말해 달라고 한다.(또는 다른 나라 언어를 녹음한 것을 들려준다.) 어린이들에게 다른 나라 언어를 말하는 흉내를 내 보라고 한다. 우리가 같은 언어를 쓰지 않을 때 서로를 이해하는 것이 얼마나 힘든 일인지 짚어 준다. 이 활동을 활용하여 창세기 11장 1~9절이더서 1장 33절에 나오는 바벨탑 이야기를 소개한다. 이더서 3장 13절과 15절을 읽어 주고, 야렛의 형제는 자신과 친구들과 가족들이 서로를 이해할 수 있도록 어떻게 기도했는지 설명한다.(이더서 1:34~37 참조) 이더서 1장 35절에서 그의 기도에 대한 주님의 응답이 나오는 부분을 읽어 주고, 이를 어린이들이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제50장 야렛인들이 바벨을 떠남”(『몰몬경 이야기』, 143~144쪽, 또는 ChurchofJesusChrist.org에 있는 해당 동영상)을 활용할 수도 있다.

  • 어린이들에게 이더서 2장 16~17절에 나온 것처럼 거룻배를 만드는 흉내를 내 보라고 한다. 그 배의 문제점을 설명하고(이더서 2:19 참조), 어린이들에게 그 문제점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물어본다. 어린이들에게 이더서 2장 18~19절을 읽어 주고, 야렛의 형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기도로 주님께 간구했는지 가르친다. 우리는 질문이나 문제가 있을 때 언제든 기도할 수 있다고 간증한다.

  • 주님께서 거룻배에 관한 질문에 어떻게 대답하셨는지 설명하기 위해 이더서 2장 19절~3장 6절을 간략하게 들려준다. 교실 곳곳에 돌 열여섯 개를 놓아두고, 어린이들에게 돌을 찾을 때마다 개수를 세어 보라고 한다. 『와서 나를 따르라—개인 및 가족』 교재의 이번 주 학습 개요에 수록된 그림을 보여 주고, 어린이들에게 그 이야기를 다시 전달해 보라고 한다.(또한 이번 주 활동 그림을 참조한다.)

이더서 3:13, 15

나는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되었어요.

야렛의 형제가 주님을 보았을 때, 그는 “만인이 태초에 [그분]의 형상대로 창조되었”음을 알게 되었다.(이더서 3:15)

활동 아이디어

  • 어린이들에게 구주의 그림을 보여 주고, 그분의 몸에서 여러 부위를 가리켜 보라고 한다. 야렛의 형제는 예수 그리스도를 보았을 때 우리가 모두 예수님과 비슷하게 생겼음을 알게 되었다고 설명한다. 어린이들에게 교사가 예수님 그림에서 몸의 한 부분을 가리키면, 자신의 몸에서 같은 부분을 가리켜 보라고 한다. 우리는 하나님 아버지와 예수 그리스도의 형상대로 창조되었음을 간증한다.

  • 다 함께 “머리, 어깨, 무릎, 발”(『어린이 노래책』, 129쪽)처럼 우리 몸에 관련된 노래를 한 곡 부른다. 어린이들에게 자신의 몸을 이루는 여러 부분에 대해 감사함을 느끼는 이유를 말해 보라고 한다.

이미지
잔디밭을 달리는 어린이들

우리는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되었다.

이미지
가르치기 아이콘

교리를 가르친다: 나이가 많은 아이들

이더서 1:33~43; 2장; 3:1~17

나는 도움을 얻기 위해 계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어린이들이 야렛의 형제가 보여 준 모범을 보며 계시에 관해 배울 수 있도록 어떻게 도와주면 좋을까? 주님께서 여러분의 문제나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도록 도와주셨던 자신의 경험을 들려줄 수 있는가?

활동 아이디어

  • 수업 전에 각기 다른 종이에 “일어나세요. 한 바퀴 도세요. 자리에 앉으세요.”라는 문장을 여러 언어로 적어 놓는다.(온라인 번역기나 외국어를 아는 사람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어린이들에게 종이를 한 장씩 주고, 거기에 적힌 지시대로 해 보라고 한다. 이 활동을 활용하여 야렛의 형제가 무엇 때문에 이더서 1장 33~37절에 나온 것처럼 기도하게 되었는지 설명한다. 이 성구를 함께 읽으면서, 주님은 야렛과 그의 친구들 및 가족들을 어떻게 여기셨는지 주의해서 살펴보라고 한다. 우리는 이 이야기에서 기도에 관해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 어린이들에게 다음 성구 중에서 하나씩 읽게 하고, 야렛의 형제가 직면한 질문이나 문제를 찾아보라고 한다. 이더서 1:33~35; 이더서 1:36~37; 이더서 2:18~20. 야렛의 형제는 문제나 질문이 생기면 어떻게 했는가? 주님께서는 매번 그를 어떻게 도우셨는가? 어린이들에게 각자 도움이 필요한 자신의 문제들을 떠올려 보라고 한다. 그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 그들은 야렛의 형제가 보인 모범을 어떻게 따를 수 있을까? 여러분이 기도로 도움을 간구했을 때 주님께서 도와주셨던 경험을 한 가지 들려준다.

이더서 3:4~17

나는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되었습니다.

여러분이 가르치는 어린이들은 하나님과 자기 자신, 그리고 자신들의 신체에 관해 여러 가지 잘못된 메시지를 듣게 될 것이다. 여러분은 이 성구를 활용하여 이러한 것에 관한 영원한 진리를 어린이들에게 가르칠 수 있다.

활동 아이디어

  • 함께 이더서 3장 6~16절을 읽고, 어린이들이 야렛의 형제가 이 경험을 통해 주님에 관하여 알게 된 것들을 목록으로 만들어 보도록 도와준다. 이러한 것들을 아는 것은 왜 중요할까? 가령, 우리가 주님의 형상대로 창조되었음을 아는 것은 신체에 대한 우리의 관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겠는가?

  • 칠판에 육신영체라고 적는다. 어린이들에게 몸의 특징(피부와 피가 있음 등)을 말해 보고, 자신이 말한 것을 칠판에 적어 보라고 한다. 이더서 3장 4~17절을 함께 읽고, 우리의 영체에 관해 무엇을 배울 수 있는지 찾아보라고 한다. 우리의 육신과 영은 “[예수님]의 형상대로 창조되었”다고 간증한다.(이더서 3:15)

이더서 5:2~4

세 명의 증인이 몰몬경을 증거합니다.

모로나이는 세 증인이 몰몬경의 참됨을 확립할 것이라고 예언했다. 여러분은 이 예언을 활용하여 어린이들의 간증을 강화하고, 어린이들이 각자의 방식으로 몰몬경의 증인이 될 수 있도록 영감을 줄 수 있다.

활동 아이디어

  • 칠판에 이더서 5장 2~4절에 나오는 중요한 단어들을 적는다. 판, 권능, 참됨, 증인, 간증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어린이들과 이 성구를 함께 읽다가 칠판에 적힌 단어가 나오면 읽기를 멈추고 그 단어가 중요한 이유를 이야기해 보라고 한다. 어린이들에게 세 증인에 관해 가르치기 위해 “제7장 금판을 본 증인들”(『교리와 성약 이야기』, 31~33쪽)과 몰몬경에서 “세 증인의 증언”을 참조할 수 있다. 하나님께서 세 사람에게 금판을 보여 주고자 하신 이유는 무엇인가?

  • 어린이들에게 여러분은 몰몬경이 참되다는 것을 어떻게 알게 되었는지 말해 준다. 어린이들에게도 몰몬경이 참되다고 생각하는 이유를 말해 보라고 한다. 그들이 몰몬경의 증인이 될 수 있는 방법들을 생각해 보고, 이번 주에 누군가에게 그들의 간증을 나누도록 격려한다.

이미지
배우기 아이콘

가정에서 배우도록 격려한다

어린이들에게 야렛의 형제가 한 것처럼 하나님 아버지께 도움을 구할 것이 있는지 생각해 보라고 한다. 기도를 통해 그분의 도움을 간구하도록 격려한다.

더 나은 가르침을 위하여

활동을 통해 가르친다. 어린이들이 그림 그리기나 활동 그림 완성하기 등의 활동을 할 때, 여러분은 그 시간을 활용하여 그 활동을 통해 가르치고자 하는 진리들을 강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