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서 나를 따르라
11월 23일~29일. 이더서 12~15장: “신앙으로 모든 일이 이루어지나니”


“11월 23일~29일. 이더서 12~15장: ‘신앙으로 모든 일이 이루어지나니’”, 『와서 나를 따르라—초등회: 2020 몰몬경』(2020)

“11월 23일~29일. 이더서 12~15장”, 『와서 나를 따르라—초등회: 2020』

이미지
굴로 들어가는 이더

바위굴로 숨는 이더, 게리 어니스트 스미스

11월 23일~29일

이더서 12~15장

“신앙으로 모든 일이 이루어지나니”

이더서 12~15장을 읽으면서 여러분이 가르치는 어린이들을 생각한다. 본 개요에 수록된 활동 아이디어를 참고하면, 반원들에게 필요한 도움을 줄 수 있는 또 다른 아이디어가 떠오를 것이다.

느낌을 기록한다

이미지
나누기 아이콘

나누도록 권유한다

어린이들에게 경전에서 위대한 신앙을 보여 주었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떠올려 보라고 한다. 이더서 12장 11~22절에서도 그런 이야기들을 찾을 수 있다.

이미지
가르치기 아이콘

교리를 가르친다: 나이가 어린 아이들

이더서 12:6~22

신앙은 보이지 않는 것들을 믿는 것이에요.

모로나이는 신앙의 힘으로 위대한 일을 성취한 사람들의 사례를 몇 가지 들려주었다. 어린이들에게 신앙에 대해 가르치기 위해 이러한 사례를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지 생각해 본다.

활동 아이디어

  • 이더서 12장 6절에서 “신앙이란 비록 보이지 아니하나 바라는 것임이라”라는 구절을 어린이들에게 읽어 주고, 여러분과 함께 이 구절을 반복하여 말해 보자고 한다. 여러분이 비록 볼 수는 없지만 믿고 있는 것들을 말해 주고, 어린이들에게 그러한 예를 더 생각해 보라고 한다. “신앙”(『어린이 노래책』, 50쪽) 노래나 신앙에 관한 다른 노래도 도움이 될 수 있다.

  • 이더서 12장 13~15절, 20~21절에 나오는 신앙의 사례들을 묘사한 그림을 보여 준다.(『복음 그림책』, 78번, 85번과 이번 주 활동 그림 참조) 이 그림들의 내용과 그림에 나온 이야기에 관하여 아는 것을 이야기해 보라고 한다. 이 사람들은 어떻게 신앙을 보였으며, 그들의 신앙으로 어떤 일들이 일어났는지 함께 이야기해 본다.

  • 어린이들과 수수께끼 놀이를 한다. 어린이들이 누구인지 알아맞힐 때까지 이더서 12장 13~15절, 19~20절에 등장하는 충실한 인물들에 관한 단서를 말해 준다. 그런 다음, 이번에는 어린이들이 돌아가면서 그 사람들(또는 다른 충실한 인물들)에 관한 단서를 주게 하고, 나머지 반원들에게 알아맞히게 한다. 여러분은 이 사람들의 신앙에 관하여 어떤 점을 존경하는지 말해 준다.

이더서 12:23~27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내가 강해지도록 도와주실 수 있어요.

모로나이가 그랬던 것처럼, 어린이들도 자신의 힘이 미약하다고 느껴지는 상황에 직면할 때가 있다. 어린이들이 모로나이가 배운 사실, 즉 구주께서는 “연약한 것들을 강하게 되게” 하실 수 있음을 깨닫도록 도와준다.(이더서 12:27)

활동 아이디어

  • 어린이들에게 신체적으로 많은 힘이 필요한 어떤 일에 대해 설명해 준다. 어린이들에게 자신이 아직 힘이 충분히 세지 않아서 할 수 없는 일들을 몇 가지 말해 보라고 한다. 우리는 어떻게 하면 이러한 일들을 해낼 만큼 강해질 수 있을까? 우리는 영적인 일도 해야 하는데, 가끔은 자신이 영적으로 약하다는 생각이 들 때도 있다고 말해 준다. 모로나이는 판에 기록 작업을 하면서 부족함을 느꼈다. 어린이들에게 이더서 12장 27절을 읽어 준다. 주님께서는 연약함을 느끼는 이들에게 어떤 약속을 주셨는가?

  • 구주께서 여러분이나 여러분이 아는 사람이 힘든 일을 해내도록 도와주셨던 경험을 이야기한다. 예수님께 도움을 구한다면, 그분은 어린이들이 약하다고 느낄 때도 강하게 되도록 도와주실 수 있다고 간증한다.

이미지
가르치기 아이콘

교리를 가르친다: 나이가 많은 아이들

이더서 12:5~6

신앙은 보이지 않는 것들을 믿는 것입니다.

여러분이 가르치는 어린이들은 간증의 기초를 쌓아 가고 있다. 이더서 12장 6절에 나오는 신앙에 관한 모로나이의 권고는 그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활동 아이디어

  • 선지자 이더는 야렛인들에게 “크고 기이한 일들”에 관해 가르치려고 했지만, 그들은 이더의 말을 믿지 않았다고 설명한다. 어린이들에게 이더서 12장 5절을 읽고, 그들이 믿지 않았던 이유를 찾아보라고 한다. 하나님 아버지께서는 우리가 어떤 것을 믿기를 바라시는가? 그것이 심지어 보이지 않는 것이라 할지라도 말이다. 이더서 12장 6절을 함께 읽는다. 볼 수 없다는 이유로 영적인 진리를 믿으려 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모로나이는 어떠한 가르침을 주었는가?

  • 어린이 한 명에게만 그림을 하나 보여 주고, 자신이 본 그림을 나머지 반원들에게 설명해 보라고 한다. 시간이 허락한다면, 다른 어린이들도 돌아가면서 다른 그림을 보고 설명해 보게 한다. 그런 다음, 어린이들에게 이더서 12장 6절을 읽고, 다음 구절을 찾아보라고 한다. “신앙이란 비록 보이지 아니하나 바라는 것임이라.”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를 볼 수 없지만 어떻게 그분을 믿는 신앙을 보이는가?

  • 어린이들에게 이더서 12장 6절에 있는 다음 문구를 읽으라고 한다. “너희의 신앙이 시련을 겪기까지는 너희가 증거를 받지 못함이니라.” 계명에 순종할 때 그것의 참됨을 알 수 있다는 사실을 어린이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하나님께서는 우리가 어떤 복음 원리에 대한 간증을 얻기를 바라실지 생각해 보라고 한다. 십일조 바치기, 안식일을 거룩하게 지키기, 지혜의 말씀대로 생활하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런 다음 칠판에 다음과 같이 적는다. 에 대한 간증을 얻기 위해 나는해야 한다. 이러한 진리와 다른 여러 진리에 대한 간증을 얻기 위해 여러분은 어떻게 신앙을 행사했는지 이야기해 준다.

이더서 12:4, 32

소망은 영혼의 닻과 같습니다.

우리에게는 그리스도를 믿는 신앙이 있기에 “더 나은 세상[을] … 바랄” 수 있다는 사실을 반원들이 이해하도록 도와준다.(이더서 12:4)

활동 아이디어

  • 소망”(경전 안내서, scriptures.ChurchofJesusChrist.org)에 나오는 정의를 어린이들에게 들려준다. 이 정의와 이더서 12장 4, 32절에 따르면, 우리는 어떤 소망을 품어야 하는가?(또한 모로나이 7:40~42 참조) 어린이들에게 소망 대신 쓸 수 있는 다른 단어와 소망의 반대말들을 생각해 보라고 한다. 여러분이 소망을 품게 해 주는 복음 진리들을 말해 주고, 어린이들에게도 그런 것들을 이야기해 보라고 한다.

  • 배와 닻 사진을 보여 준다.(또는 칠판에 그린다.) 배에 닻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배에 닻이 없으면 어떤 일이 일어나겠는가? 어린이들과 함께 이더서 12장 4절을 읽고, 소망은 왜 닻과 같은지 물어본다. 가족들에게 소망에 관해 가르칠 때 활용할 수 있도록 배와 닻을 그려 보라고 한다.

이더서 12:23~29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내가 강해지도록 도와주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들은 자라나면서 자신의 약점에 대해 더 잘 알게 된다. 이 성구를 활용하여 구주께서는 어떻게 “연약한 것들을 강하게 되게” 하실 수 있는지 가르친다.(이더서 12:27)

활동 아이디어

  • 어린이들에게 이더서 12장 23~25절을 읽고, 모로나이가 걱정했던 이유를 찾아보라고 한다. 어린이들도 이런 감정을 느낀 적이 있는지 물어본다. 그런 다음, 주님께서 어떻게 모로나이를 격려하셨는지 알아보기 위해 26~27절을 읽어 보라고 한다. 자신의 연약함을 느낄 때, 주님의 도움을 받아 강해지기 위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구주께서 여러분이 어떤 힘든 일을 해낼 만큼 충분히 강해지도록 도와주셨던 경험을 이야기한다.

  • 어린이들에게 약한 것과 강한 것을 그려 보라고 한다. 그런 다음, 이더서 12장 23~29절에서 구주께서 어떻게 우리의 연약함이 강해지도록 도와주실 수 있는지를 보여 주는 단어 또는 문구들을 찾아서 자신의 그림에 적어 넣으라고 한다. 어린이들에게 자신에게 있을지 모르는 연약함에 대해 생각해 보고, 그런 면에서 강해지기 위해 구주의 도움을 간구하라고 격려한다.

이미지
배우기 아이콘

가정에서 배우도록 격려한다

어린이들에게 간증을 얻고 싶은 진리를 한 가지 적으라고 한다. 그런 다음, 그 진리에 대한 간증을 얻을 수 있도록 신앙을 행사하겠다는 목표를 세우라고 격려한다.

더 나은 가르침을 위하여

여러분이 가르치는 어린이들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여러분이 가르치는 [어린이]들의 배경, 관심사, 재능, 그리고 그들이 가지고 있는 어려움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질문하고, 경청하며, 여러 다른 상황에서 학습자가 하는 말과 행동을 관찰한다. … 그들의 부모에게 조언을 구한다. 무엇보다도, 오직 영이 줄 수 있는 이해력을 얻기 위해 기도한다.”(『구주께서 보여 주신 방법으로 가르침』, 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