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서 나를 따르라
11월 18일~24일. 야고보서: ‘너희는 말씀을 행하는 자가 되고 듣기만 하[는] 자가 되지 말라’


“11월 18일~24일. 야고보서: ‘너희는 말씀을 행하는 자가 되고 듣기만 하[는] 자가 되지 말라’” 와서 나를 따르라—초등회: 2019 신약전서(2019)

“11월 18일~24일. 야고보서”, 와서 나를 따르라—초등회: 2019

이미지
장막 밖에서 기도하는 아브라함

마므레 상수리 수풀에 있는 아브라함, 그랜트 롬니 클로슨

11월 18일~24일

야고보서

“너희는 말씀을 행하는 자가 되고 듣기만 하[는] 자가 되지 말라”

야고보서에는 여러분이 가르치는 어린이들을 축복할 수 있는 진리가 많이 담겨 있다. 영의 인도를 따라 어떤 진리를 전할 것인지 결정한다. 본 개요에 있는 아이디어들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느낌을 기록한다

이미지
나누기 아이콘

나누도록 권유한다

어린이들에게 주중에 가정에서 배웠거나, 지난주 초등회 시간에 배웠던 복음 원리 중에서 기억나는 것을 이야기해 달라고 한다. 한 어린이가 발표를 마치면, 다른 어린이에게 방금 들은 내용을 요약해 보게 한다.

이미지
가르치기 아이콘

교리를 가르친다

나이가 어린 아이들

야고보서 1:5~6

나는 참된 것을 배우기 위해 하나님 아버지께 도움을 구할 수 있어요.

반원들이 하나님 아버지께 의지하여 지혜를 구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도록 도와준다. 이는 그들이 어려운 문제를 직면할 때 큰 축복이 될 것이다.

활동 아이디어

  • 어린이들이 다음 구절을 익히도록 도와준다. “너희 중에 누구든지 지혜가 부족하거든 … 하나님께 구하라.”(야고보서 1:5) 우리는 어떻게 하나님께 질문하는가? 그분은 어떻게 우리에게 응답해 주시는가?

  • 첫번째 시현 그림을 보여 준 후(복음 그림책, 90번), 조셉 스미스가 야고보서 1장 5절을 읽고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하나님께 도움을 구해야겠다고 영감을 받았던 이야기를 들려준다.(조셉 스미스—역사 1:1~15 참조) 하나님은 기도에 응답해 주신다는 간증을 전하고, 어린이들도 질문이 있을 때 하나님께 기도할 수 있다고 간증한다. 어린이들에게 조셉 스미스가 야고보서 1장 5절을 읽고 하나님 아버지께 기도하는 장면을 그림으로 그려 보라고 한다.

야고보서 3:1~13

나는 친절한 말을 할 수 있어요.

야고보가 간증한 것처럼, 다른 사람에게 친절한 말만 하는 법을 익히면 예수 그리스도와 같은 사람이 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야고보서 3:2 참조)

활동 아이디어

  • 달콤한 맛이 나는 것과 신맛이 나는 것을 가져와서 어린이들에게 맛보게 한다. 우리는 입으로 불쾌한(불친절한) 말이 아닌 달콤한(친절한) 말을 해야 한다는 점을 어린이들이 이해하도록 도와준다.(야고보서 3:10 참조) 예를 들어, 우리는 다른 사람에게 어떤 친절한 말을 할 수 있는지 생각해 보라고 한다.

  • 말을 하는 사람의 모습을 간단하게 그려서 모든 어린이에게 나누어 준다. 여러분이 친절한 말을 하면 그림을 위로 올리고(진리, 칭찬, 남을 돕겠다는 말 등), 불친절한 말을 하면 그림을 아래로 내려 보라고 한다.(거짓말, 욕설, 부모님의 말씀을 듣지 않겠다는 말 등)

  • 야고보서 3장 1~3절을 강조하기 위해 “내가 먼저 친절하렵니다”(어린이 노래책, 83쪽) 등 친절과 관련된 노래를 함께 부른다. 어린이들에게 각자 “친절 항아리”를 만들어서 누군가에게 친절한 말을 할 때마다 조약돌이나 작은 물건으로 항아리를 채워 보도록 제안한다.

야고보서 5:7~11

하나님께 축복을 받으려면 인내해야 할 때도 있어요.

인내심은 저절로 생기는 것이 아니다. 특히 어린이들의 경우엔 더욱 그렇다. 어린이들이 인내를 배우도록 돕기 위해 야고보의 권고를 활용할 방법을 생각해 본다.

활동 아이디어

  • 어린이들에게 정말 원했던 것을 얻기 위해 기다려야 했던 때를 생각해 보라고 한다.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불평하지 않고 기다리는 것을 인내라고 한다고 설명한다.

  • 야고보서 5장 7절의 내용을 여러분의 말로 요약하여 들려준 다음, 씨앗이나 묘목 그림을 보여 준다. 식물을 키울 때는 왜 인내해야 할까? 묘목이 빨리 자라게 하려고 위로 잡아당기면 어떻게 될까?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위해 많은 축복을 마련해 두셨지만, 어떤 축복을 받기 위해서는 우리가 인내해야 한다고 간증한다.

  • 인내의 본보기로 야고보서 5장 11절에 언급된 욥의 이야기를 들려준다.(구약전서 이야기 165~169쪽, “제46장 욥” 또는 LDS.org에서 관련 동영상 참조) 욥은 인내함으로써 어떤 축복을 받았는가?

이미지
가르치기 아이콘

교리를 가르친다

나이가 많은 아이들

야고보서 1:5~6

하나님 아버지께 도움을 구하면, 그분은 내가 진리를 배우도록 도와주실 것입니다.

여러분이 가르치는 어린이들이 어려 보이겠지만, 사실 그들은 야고보서 1장 5절을 읽고 하나님 아버지께 기도로 다가가 보겠다고 생각했던 소년 조셉 스미스보다 겨우 몇 살 어릴 뿐이다. 어린이들이 지혜가 부족할 때 하나님께서 그들을 도와주시리라는 신앙을 키우도록 도와줄 방법을 생각해 본다.

활동 아이디어

  • 어린이들에게 조셉 스미스의 첫번째 시현 이야기를 말해 보게 한다.(조셉 스미스—역사 1:5~19 참조) 조셉에게 야고보서 1장 5절은 어떻게 도움이 되었는가? 경전에 등장하는 인물 중에서 기도의 응답을 받았던 사람들을 또 생각해 보라고 한다.(니파이[ 니파이전서 11:1~6], 야렛의 형제[이더서 2:18~3:9] 등) 우리가 하나님께 기도로 간구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이 있을까?

  • 어린이들과 함께 조셉 스미스ㅡ역사 1장 10~14절을 읽는다. 조셉이 질문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어떤 일을 했는지 찾아보라고 한다. 알고 싶은 것이 있을 때 우리는 어떻게 조셉 스미스의 모범을 따를 수 있을까?

야고보서 1:22~27; 2:14~26

“행함이 없는 믿음은 죽은 것이니라.”

어린이들이 믿는 것과 행동하는 것 사이의 연관성을 깨닫도록 어떻게 도와주면 좋을까?

활동 아이디어

  • 건전지가 없는 손전등이나 심 없는 연필과 같이 쓸모가 없거나 “죽은” 것과 다름없는 것의 예를 보여 준다. 어린이들에게 야고보서 2장 14~17절을 읽어 보라고 한다. 이러한 물건들은 이 성구에 담긴 진리를 이해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는가?

  • 어린이들에게 야고보서 1장 22~27절2장 14~26절을 눈으로 읽어 보라고 한다. 자신이 말씀을 행하는 자라는 것을 나타내 보이기 위해 할 수 있는 일들을 이야기해 보라고 한다. 가령, 아는 사람 중에 몸이 아프거나 외로움을 느끼는 사람을 방문할 수 있으며, 가족을 더욱 열심히 돕겠다고 마음먹을 수도 있다. 어린이들이 오늘 성찬식 모임에서 들었던 말씀을 기억하도록 도와줄 수도 있다. 그러한 말씀들을 행하는 자가 되기 위해 우리는 어떻게 할 수 있을까?

야고보서 3:1~13

나는 내가 하는 말을 조심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서로에게 하는 말은 중요하지 않아 보일 수도 있지만, 야고보가 간증했듯이 말에는 좋든 나쁘든 강력한 힘이 내재되어 있다.

활동 아이디어

  • 와드의 회원이나 여러분이 가르치는 어린이 중에 말을 다뤄 봤거나 배에 대해 잘 아는 사람이 있는가? 그 사람을 초대하여 친절한 말을 하는 것에 대한 야고보의 가르침에서(야고보서 3장 3~4절) 그 사람이 깨달은 내용을 이야기해 달라고 부탁한다. 또는, 여러분이 깨달은 것을 어린이들에게 이야기해 주어도 좋다. 우리는 이러한 사례를 통해 말을 조심하는 것에 관해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 어린이들에게 야고보서 3장 1~13절을 읽고, 말을 조심하는 것에 관하여 이 부분에서 가르치는 내용을 찾아 그림으로 그려 보자고 한다. 어린이들이 자신의 그림을 소개하고 성구에서 배운 점을 이야기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준다.

  • 다 함께 야고보서 3장 1~13절을 복습하고 나서, 청소년의 힘을 위하여 교재에 있는 언어에 관한 표준을 살펴본다.(20~21쪽) 어린이들이 다른 사람에게 말하는 방식을 개선하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생각해 보고, 자신만의 목표를 세우도록 격려한다.

이미지
배우기 아이콘

가정에서 학습하도록 격려한다

어린이들에게 다가오는 한 주 동안 하나님 아버지께 기도로 질문을 여쭈거나 더욱 인내하기 위해 노력하라고 격려한다. 그 경험을 다음 주 수업 시간에 이야기해 달라고 한다.

더 나은 가르침을 위하여

어린이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돕는다. “어린이를 가르칠 때, 짓고, 그리고, 색칠하고, 쓰고, 만들게 한다. 이러한 것들은 재미있는 활동일뿐만 아니라 배우는 데 필수적인 것들이다.”(구주께서 보여 주신 방법으로 가르침, 25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