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나리
마태복음 23장


마태복음 23장

구주께서 위선을 꾸짖으시다

이미지
Jesus talking to Pharisees in Jerusalem. Movie still from The Life of Jesus Christ Bible Videos.

구주께서는 지상 성역을 베푸시던 마지막 주에 서기관과 바리새인들의 위선을 꾸짖으셨다. 이 과는 위선을 피하고 예수 그리스도의 겸손한 제자가 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위선이란 어떤 의미인가?

이미지
Photo of three cups. One that is dirty on the inside, one that is dirty on the outside, and one that is clean

물을 마시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컵이 세 개 있다고 상상해 본다. 첫 번째 컵은 바깥쪽이 더럽고, 두 번째 컵은 안쪽이 더럽고, 세 번째 컵은 깨끗하다.

  • 더러운 컵들은 어떤 점에서 위선자를 나타낼 수 있는가?

위선자[hypocrite]라는 단어는 ‘배우’를 의미하는 그리스어에서 번역된 말로, 가장하거나, 한 부분을 지나치게 강조하거나, 기만적으로 모순된 행위를 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이 단어는 “일반적으로 신앙심이 깊은 척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사람을 의미한다.”(Bible Dictionary, “ Hypocrite ”) 또한 실제로는 신앙심이 깊지만 그렇지 않은 척하는 사람을 지칭할 수도 있다.

마태복음 23장 을 공부하면서 위선을 피하고 좀 더 그리스도를 닮아 가는 데 도움이 되는 진리를 찾아본다.

구주께서는 지상 성역의 마지막 주에 공개적으로 전하신 마지막 메시지의 일부로 서기관과 바리새인들의 위선을 꾸짖으셨다. 그분은 서기관과 바리새인들이 “모세의 자리에 앉았으니”( 마태복음 23:2)라고 지적하셨는데, 이는 그들이 교리를 가르치며 율법을 해설하고 집행하는 권세를 지닌 위치를 차지했다는 뜻이다. 서기관과 바리새인들은 자신들이 회당에 있는 그 누구보다도 합당하다고 여겼다.

마태복음 23장 3~7절 을 읽으면서, 구주께서 서기관과 바리새인들이 어떤 식으로 위선을 행한다고 말씀하셨는지 찾아본다. 경전 말씀을 읽기 전에 “경문”( 5 )은 유대인들이 이마와 왼팔에 가죽끈으로 잡아맨 작은 가죽 상자였다는 사실을 알면 도움이 될 것이다. 경문 안에는 구약전서에서 발췌한 특정 성구를 적은 작은 양피지 두루마리가 들어 있었다. 유대인들은 하나님의 계명을 따르는 것을 기억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경문을 착용했다.

이미지
Combined image of two men wearing phylacteries and an image of the wailing wall in Jerusalem
이미지
Combined image of two men wearing phylacteries and an image of the wailing wall in Jerusalem
  • 5절 에 따르면, 서기관과 바리새인들은 왜 경문의 띠를 넓게 하고 “옷술을 길게” 하였는가?

주님께서는 경문을 착용한 사람들을 꾸짖지 아니하셨지만, 그것을 위선적으로 사용하거나 자신이 경문을 착용했다는 것을 다른 사람들이 알아볼 수 있도록, 또는 자신이 더 중요하게 보이도록 그 띠를 넓게 만든 사람들을 꾸짖으셨다.

1. 다음 질문에 대한 답을 학습 일지에 적는다.

  • 다른 사람들의 주목을 받고 싶어서 겉으로만 하나님을 경배하는 것에는 어떤 위험이 있는가?

  • 왜 하나님께서는 진심으로 올바른 의도를 갖고 드리는 예배를 원하신다고 생각하는가?

구주께서는 사람들에게 서기관과 바리새인들의 행동을 따르지 말라고 경고했을 뿐만 아니라, 서기관과 바리새인들에게도 직접 말씀하셨다. 그분은 위선으로 인해 그들에게 닥칠 여러 가지 화를 선언하셨다.( 마태복음 23:13~33 참조) 는 비참함, 괴로움, 슬픔의 상태를 의미한다.

마태복음 23장 23~28절 을 읽으면서, 구주께서 서기관과 바리새인들에게 무엇이라고 말씀하셨는지 찾아본다.

2. 다음 질문에 대한 답을 학습 일지에 적는다.

  • 이 구절들은 위선에 관한 이해를 어떻게 더해 주는가?

  • 복음대로 살려고 애쓰다가 실수를 저지르면, 위선자가 되는 것이 아닐까 걱정하는 사람들이 있다. 여러분은 그런 사람들에게 뭐라고 말해 주겠는가?

위선을 피하고 극복할 수 있는 방법

서기관이나 바리새인들과는 대조적으로 구주께서는 결코 위선적으로 행동하지 않으셨다. 구주께서는 사람들에게 자신을 남들보다 낫다고 여기지 말라고 가르치셨다. 왜냐하면 사람들은 모두 하나님의 자녀들이고, 그분의 눈에는 모두가 평등했기 때문이다. 그분은 하나님 아버지께서는 우리의 창조주이시며, 그리스도이신 본인은 우리에게 생명을 주도록 하나님 아버지께서 보내신 참된 “지도자”라고 간증하셨다.(조셉 스미스 역, 마태복음 23:6, 마태복음 23:8~10 참조)

마태복음 23장 11~12절 을 읽으면서 위선을 극복하고 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가르침을 찾아본다. 12 에서 높아지다라는 말은 들어 올린다는 뜻이고 낮아지다라는 말은 낮아지고, 굴욕을 당하고, 존경받지 못한다는 것을 뜻한다.

  • 이 구절에서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우리에게 어떤 원리를 가르치고 계신다고 생각하는가?

구주께서는 우리가 자신을 낮추고 다른 사람을 섬기면, 주님께서 우리를 높여 주실 것이라고 가르치셨다. 주님은 우리가 당신을 닮아 가도록 도와주실 것이며, 우리가 하나님의 계명에 순종하고 참으로 회개한다면 해의 왕국에서 승영을 얻게 해 주실 것이다.

3. 다음 질문에 대한 답을 학습 일지에 적는다.

  •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어떻게 겸손과, 다른 사람을 섬기고, 위선을 피하는 모범이 되시는가?

  • 겸손하고 다른 사람을 섬기는 것이 어떻게 위선을 피하고 구주를 좀 더 닮아 가는 데 도움이 되는가?

다음 문장을 읽고 깊이 생각해 본다. 자신을 가장 잘 나타내는 문장을 한두 개 찾아본다.

  • 나는 내가 아닌 다른 사람인 척한다.

  • 나는 다른 사람들의 눈에 띄기 위해 선한 행동을 한다.

  • 나는 종종 내가 다른 사람들보다 더 낫다고 생각한다.

  • 나는 실수를 하더라도, 정직하게 복음을 따라 살려고 애쓴다.

  • 나는 타인에게 봉사하고 선을 행하려고 노력하며, 인정받으려 애쓰지 않는다.

  • 나는 겸손하려고 노력하며 내 자신이 다른 사람들보다 더 낫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자신이 개선할 수 있는 영역을 찾는 동안 성신의 인도를 구한다. 하나님 아버지와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여러분을 사랑하시고 복음대로 살아가고자 하는 모든 진지한 노력을 알고 계시다는 사실을 기억한다. 하나님 아버지께 도움을 구하면, 그분께서는 어떤 약점이나 위선이든 극복하도록 도와주실 것이다.

선택 사항: 더 배우고 싶은가?

구주께서는 위선적인 서기관과 바리새인들을 어떻게 보셨는가?

십이사도 정원회의 디 토드 크리스토퍼슨 장로는 “경고의 음성”이라는 말씀을 통해 예수님이 서기관과 바리새인들의 위선을 꾸짖으신 것에 관해 가르쳤다.(『리아호나』, 2017년 5월호, 108~111쪽)

복음대로 살려고 노력하는 가운데 실수를 저지른다면 나는 위선자인가?

십이사도 정원회의 제프리 알 홀런드 장로는 이렇게 가르쳤다.

이미지
Official Portrait of Elder Jeffrey R. Holland. Photographed January 2018.

형제 자매 여러분, 우리는 모두 그리스도와 같은 삶을 열망하는데, 실제 삶에서 해내고 있는 것보다 더 많이 그렇게 살기를 갈망합니다. 우리가 그 점을 솔직하게 인정하고 더 나아지려고 노력한다면, 우리는 위선자가 아닙니다. 우리는 인간입니다.

(제프리 알 홀런드, “그러므로 너희도 종국에는 온전하라”, 『리아호나』, 2017년 11월호, 4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