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장들의 가르침
소개


“소개”, 『교회 회장들의 가르침: 토마스 에스 몬슨』(2020)

“소개”, 『가르침: 토마스 에스 몬슨』

소개

제일회장단과 십이사도 정원회는 여러분이 하나님 아버지께 더욱 가까이 나아가도록 돕고, 예수 그리스도의 회복된 복음을 더 깊이 이해하도록 돕기 위해 『교회 회장들의 가르침』 총서를 마련했다. 이 책들은 개인 학습 및 가르침을 위한 자료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었다. 이 책들은 또한 여러분이 가정의 밤 공과 및 다른 공과나 말씀을 준비하고, 교회 공과를 보충하고, 교회 교리에 관한 질문의 답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책에는 2008년 2월 3일부터 2018년 1월 2일까지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의 제16대 회장으로 봉사한 토마스 에스 몬슨 회장의 가르침이 담겨 있다.

이미지
토마스 에스 몬슨

개인 학습

토마스 에스 몬슨 회장의 가르침을 공부할 때 기도하는 마음으로 성신의 영감을 구한다. 각 장의 마지막에 나오는 질문들은 몬슨 회장의 가르침을 숙고하고 적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다음 제언들 또한 도움이 될 것이다.

  • 공부할 때 성신으로부터 오는 생각과 느낌을 적는다.

  • 기억하고 싶은 문구에 표시한다.

  • 더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해 각 장이나 문구를 한 번 이상 읽는다.

  • 다음과 같이 자문해 본다. 몬슨 회장의 가르침을 통해 복음 원리를 어떻게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을까? 주님께서는 내가 이 가르침에서 무엇을 배우기를 바라실까? 주님께서는 내가 무엇을 하기를 바라실까?

  • 이 책에 실린 가르침이 개인적인 어려움이나 근심을 해결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을지 자문해 본다.

  • 배운 것을 가족이나 친구들과 나눈다.

이 책으로 가르치기

이 책은 가정과 교회에서 사용하도록 마련되었다. 다음 제언은 여러분이 이 책을 가르칠 때 도움이 될 것이다.

가르칠 준비를 한다

해당 장을 공부하고 몬슨 회장의 가르침을 확실히 이해한다. 가장 도움이 될 것이라고 느끼는 가르침을 기도하는 마음으로 선택한다. 여러분이 가르치는 사람들에게 해당 장을 공부하도록 권유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가르칠 준비를 하면서 성신의 인도를 구한다. 몬슨 회장의 가르침을 어떻게 나누고 토론할지에 관한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 영감을 구한다.

참여하도록 격려한다

회원들은 복음 토론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배움을 얻고 개인적인 계시를 받을 수 있다. 몬슨 회장의 가르침을 토론하는 동안 회원들이 자신의 생각을 나누고 질문을 하도록 격려한다.

각 장 끝에 있는 질문들은 토론을 장려하는 데 유용하게 쓰일 것이다. 여러분은 다른 질문들을 생각해 볼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사람들에게 그 가르침과 관련된 개인적인 경험들을 나누어 달라고 부탁할 수도 있다.

적용하도록 격려한다

회원들이 몬슨 회장의 가르침을 자신들의 삶에 적용할 때 그 가르침은 가장 큰 의미가 있다. 그의 가르침에 관해 토론하면서 회원들이 가정, 교회, 기타 상황에서 자신이 맡은 책임을 수행할 때 그 가르침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이야기하게 한다. 여러분이 가르치는 사람들에게 “몬슨 회장에게 배운 것을 바탕으로 나는 앞으로 어떻게 다르게 행동할 것인가?”라고 자문해 보도록 권유한다.

토론을 마무리한다

토론한 원리들을 짧게 요약하거나 한두 사람에게 요약해 달라고 부탁한다. 이 원리들이 참됨을 간증한다. 또한 다른 사람들에게 이 원리들에 대한 간증을 나누어 달라고 권유할 수도 있다.

출처 자료에 대한 정보

이 책에 실린 가르침은 토마스 에스 몬슨 회장의 설교와 저술에서 직접 인용되었다. 출판된 자료에서 가져온 인용문은 가독성을 위해 편집이나 인쇄상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 외에는 원본에 사용된 구두법, 철자법, 대문자 사용, 문단 설정을 그대로 유지했다. 인용문을 출판된 자료에 나오는 그대로 사용했기 때문에 본문의 문체에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님을 지칭하는 대명사의 경우, 어떤 인용문에는 소문자로, 또 어떤 곳은 대문자로 표기되어 있다.(영문에 해당하는 내용임-옮긴이)

몬슨 회장은 자주 남녀를 막론하고 모두를 지칭할 때 men(사람들), man(사람), 그리고 mankind(인류)와 같은 용어를 사용했다. 또한 he(그), his(그의), him(그를) 같은 대명사를 성별에 관계없이 사용하기도 했다. 이러한 언어적 관습은 그가 살았던 시대에는 일반적인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