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서 나를 따르라
8월 17일~23일. 힐라맨서 1~6장: “우리 구속주의 반석”


“8월 17일~23일. 힐라맨서 1~6장: ‘우리 구속주의 반석’”, 『와서 나를 따르라—초등회: 2020 몰몬경』(2020)

“8월 17일~23일. 힐라맨서 1~6장”, 『와서 나를 따르라—초등회: 2020』

이미지
바위에 부딪히는 파도

8월 17일~23일

힐라맨서 1~6장

“우리 구속주의 반석”

본 개요에 나온 활동들은 여러분의 마음과 생각에 아이디어와 영감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기도하는 마음으로 성구와 여러분이 가르치는 어린이들의 필요 사항을 깊이 생각할 때, 가장 좋은 아이디어가 떠오를 것이다.

느낌을 기록한다

이미지
나누기 아이콘

나누도록 권유한다

어린이들의 가정 복음 학습을 뒷받침하기 위해 그들에게 이번 주에 가정에서 배운 것을 이야기해 보라고 한다. 여러분은 가정에서 어떻게 복음 공부를 하는지 이야기해 주고, 어린이들이 어떻게 하면 그들의 가족이 몰몬경에서 배우도록 도울 수 있을지 이야기해 본다.

이미지
가르치기 아이콘

교리를 가르친다: 나이가 어린 아이들

힐라맨서 5:12

나는 예수 그리스도 위에 나의 기초를 세울 수 있어요.

힐라맨은 자신의 아들인 니파이와 리하이에게 그들의 삶을 구속주의 반석 위에 세우라고 가르쳤다. 여러분이 가르치는 어린이들에게 이러한 가르침을 어떻게 전할지 깊이 생각해 본다.

활동 아이디어

  • 성전이나 다른 건물의 사진을 보여 주고, 건물이 바람이나 폭풍에 쓰러지지 않으려면 튼튼한 기초가 필요하다고 설명한다. 이것을 시각적으로 보여 주기 위해 어린이들에게 입으로 바람을 불어 돌을 움직여 보라고 한다. 힐라맨서 5장 12절의 처음 몇 줄을 읽어 주고, 우리의 기초가 되어야 할 “반석”이 누구인지 나오면 손을 들게 한다.

  • 여러분이 힐라맨서 5장 12절을 읽는 동안 어린이들에게 이 구절을 동작으로 표현해 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여러분이 악마의 “강한 폭풍” 부분을 읽을 때 어린이들에게 팔을 흔들게 하고, “우리 구속주의 반석” 부분을 읽을 때는 한 자리에 서 있게 해 본다.

  • 어린이들에게 블록이나 다른 물건으로 구조물을 만드는 것을 도와 달라고 한다. 먼저 “확실한 기초”를 만들면서, 예수 그리스도가 어떻게 우리 삶의 기초가 되어야 하는지에 관해 이야기해 본다. 어린이들에게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기 위해 그들이 할 수 있는 일들을 말해 달라고 하고, 아이들이 한 가지씩 이야기할 때마다 구조물의 기초에 블록을 하나씩 추가하게 한다.

  • 어린이들이 활동 그림을 색칠하게 하고, 그것을 오리는 것을 도와준다. 우리의 삶을 예수 그리스도라는 기초 위에 세우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여러분의 삶을 어떻게 구주 위에 세울 수 있었는지 그 방법을 몇 가지 이야기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여러분은 삶에서 어떤 축복을 받았는지 말해 준다.

힐라맨서 5:21~52

성신은 고요하고 작은 음성으로 속삭여요.

힐라맨서 5장 29~30절, 45~47절에서 레이맨인들이 들었던 음성은 우리가 흔히 성신이 말씀하시는 방식을 표현할 때와 비슷하게 묘사되어 있다. 여러분은 어린이들이 영의 음성을 인식하도록 돕기 위해 이 구절들을 활용할 수 있다.

활동 아이디어

  • 감옥에 갇힌 니파이와 리하이의 일화를 들려준다. “제37장 감옥에 갇힌 리하이와 니파이”(『몰몬경 이야기』, 99~102쪽, 또는 ChurchofJesusChrist.org에 있는 해당 동영상)를 활용할 수도 있다. 레이맨인들이 들었던 음성에 관해 이야기할 때는 조용한 목소리로 말한다. 이 이야기를 몇 번 반복하고 난 다음, 어린이들에게 여러분과 속삭이듯이 이야기하자고 한다. 여러분이 성신의 속삭임을 듣고 간증이 강해졌던 경험을 어린이들에게 들려준다.

  • 힐라맨서 5장 30절을 읽어 주고, 함께 “고요하고 작은 음성”(『리아호나』, 2006년 4월호)과 같이 성신에 관한 노래를 한 곡 부른다. 성구와 노래 가사에서 성신이 우리에게 말씀하는 방식을 묘사하는 단어들을 짚어 준다.(또한 힐라맨서 5:45~47 참조) 힐라맨서 5장 29절과 여러분의 경험을 활용하여, 성신이 우리에게 실천하도록 권유할 만한 좋은 일들을 어린이들과 이야기해 본다.

이미지
가르치기 아이콘

교리를 가르친다: 나이가 많은 아이들

힐라맨서 1~6장

내 마음이 겸손하면 하나님 아버지께서 나를 축복하실 것입니다.

몰몬경에는 교만의 위험성과 겸손이 가져다주는 축복에 대한 여러 사례가 나온다. 힐라맨서 1~6장에도 이러한 사례들이 등장한다. 이 장들을 공부하면서, 반원들을 가르치기 위해 이러한 사례들을 어떻게 활용할지 깊이 생각해 본다.

활동 아이디어

  • 어린이들에게 교사를 도와 아래에 나오는 “교만의 주기”라는 도식을 함께 칠판에 그려 보자고 한다. 힐라맨서 3장 24절, 33~34절, 4장 11~15절을 함께 읽고, 어린이들에게 이 성구에 서술되어 있는 주기의 각 부분을 짚어 보라고 한다.

  • 칠판에 겸손함교만함이라고 적는다. 겸손한 행동과 교만한 행동의 예를 쪽지 여러 장에 적는다. 어린이들에게 돌아가면서 쪽지를 하나 고르게 한 다음, 칠판에서 그 행동에 해당되는 단어 옆에 붙이라고 한다. 우리가 겸손할 수 있는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이미지
교만의 주기

“교만의 주기”

힐라맨서 5:5~14

나는 예수 그리스도 위에 나의 기초를 세울 것입니다.

힐라맨서 5장 12절에는 예수 그리스도 위에 우리의 기초를 세우는 모습에 대한 생생한 이미지가 나와 있다. 어린이들에게 이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이 이미지들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이는 어린이들이 앞으로 겪을 유혹과 시련에 맞설 준비를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활동 아이디어

  • 약한 기초와 튼튼한 기초를 나타낼 수 있는 재료 몇 가지를 교실에 가지고 온다.(솜이나 납작한 돌 또는 타일 등) 어린이들에게 각각 다른 종류의 기초 위에 블록이나 다른 물건으로 탑을 세워 보라고 한다. 어떤 재료를 써야 더 튼튼한 기초를 만들 수 있을까? 힐라맨서 5장 12절을 함께 읽고, 어린이들에게 왜 예수 그리스도가 우리 삶에 “확실한 기초”가 되신다고 생각하는지 물어본다. 우리는 어떻게 그분 위에 우리의 삶을 세울 수 있을까? 힐라맨서 3장 27~29절, 35절신앙개조 제4조에서 아이디어를 찾아보라고 한다.

  • 어린이들에게 힐라맨서 5장 5~14절을 훑어보면서, “기억”이라는 단어가 몇 번이나 나오는지 세어 보라고 한다. 힐라맨은 자신의 아들들에게 무엇을 기억해야 한다고 가르쳤는가? 우리는 이러한 것들을 기억함으로써 어떻게 예수 그리스도를 우리 삶의 기초로 만들 수 있을까?

힐라맨서 5:20~52

회개는 영적인 어둠을 빛으로 바꿉니다.

니파이와 리하이를 죽이려고 감옥에 갔던 레이맨인들은 문자 그대로 암흑에 둘러싸였다. 우리는 죄를 지으면 영적인 어둠 안에 거하게 된다. 힐라맨서 5장 20~52절에서 우리는 이 영적인 “암흑의 구름”이 어떻게 사라질 수 있는지를 배우게 된다.(41절)

활동 아이디어

  • 교실을 최대한 어둡게 한다. 그리고 작은 손전등을 사용하여 힐라맨서 5장 20~40절에 나오는 일화를 읽어 주거나 요약해 준다. 레이맨인들은 암흑 속에서 어떤 생각이 들었을까? 어린이들에게 아미나답이 사람들에게 어떻게 해야 암흑이 사라질 것이라고 가르쳤는지 잘 들어 보라고 한 다음, 41절을 읽는다. 그런 다음 불을 켜고 42~48절을 함께 읽는다. 이 성구에서 우리는 회개가 우리 삶에 가져다주는 축복에 관하여 무엇을 배우게 되는가?

  • 어린이들에게 자기보다 나이가 어린 아이에게 성신에 관해 가르친다고 상상해 보라고 한다. 어린이들은 영의 음성이 어떤 느낌인지, 영은 우리에게 어떤 메시지를 주는지를 가르치기 위해 힐라맨서 5장 29~33절과 44~47절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성신은 여러분이 회개하도록 어떻게 영감을 주었는가? 어린이들에게 성신이 주는 평화와 위안을 느꼈던 경험을 이야기해 달라고 한다.

이미지
배우기 아이콘

가정에서 배우도록 격려한다

어린이들에게 가족들이 어떻게 그들의 삶을 예수 그리스도 위에 세웠는지 물어보라고 권유한다. 또는 어린이들이 자신의 삶을 어떻게 예수 그리스도 위에 세우려고 하는지 가족들에게 이야기할 수도 있다.

더 나은 가르침을 위하여

예수 그리스도에 대해 간증한다. 여러분은 여러분이 가르치는 어린이들의 자라나는 간증을 강화하도록 도울 신성한 기회를 받았다. 그들이 예수님의 사랑을 느끼도록 돕고, 예수님에 대한 여러분의 간증을 자주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