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신약전서
8월 28일~9월 3일. 고린도전서 8~13장: “너희는 그리스도의 몸이요”


“8월 28일~9월 3일. 고린도전서 8~13장: ‘너희는 그리스도의 몸이요’”, 『와서 나를 따르라—초등회: 2023 신약전서』(2022)

“8월 28일~9월 3일. 고린도전서 8~13장”, 『와서 나를 따르라—초등회: 2023』

이미지
성찬식

8월 28일~9월 3일

고린도전서 8~13장

“너희는 그리스도의 몸이요”

고린도전서 8~13장을 읽으면서, 이 부분에 나오는 원리들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지를 알려 주는 영의 속삭임에 귀 기울인다. 모든 활동 아이디어는 아이들의 나이에 맞추어 조정할 수 있음을 기억한다.

이미지
나누기 아이콘

나누도록 권유한다

어린이들에게 성찬식 모임에서 예수님을 생각하기 위해 어떤 일을 했는지 이야기해 달라고 한다.

이미지
가르치기 아이콘

교리를 가르친다: 나이가 어린 아이들

고린도전서 10:13

하나님 아버지께서는 내가 의로운 선택을 하도록 도와주실 거예요.

옳은 일을 선택하는 것이 항상 쉬운 일은 아니며 하나님 아버지도 그것을 알고 계신다. 그분은 우리의 성공을 바라시므로 우리가 간구하면 도움을 주실 것이다.

활동 아이디어

  • 어린이들에게 고린도전서 10장 13절을 읽어 주고 “시험”이라는 단어가 들리면 고개를 가로저으라고 한다. 이 성구가 여러분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 설명해 준다.

  • 잘못된 선택을 하려고 하는 인물들이 나오는 짤막한 이야기를 몇 개 들려준다. 이야기를 들으면서 주인공이 잘못된 선택을 하면 손을 들거나 종이로 만든 정지 신호판을 들라고 한다. 어떤 것이 옳은 선택일까? 하나님 아버지께서는 우리가 옳은 선택을 하도록 도와주실 것이라고 간증한다.

  • 예수님 그림을 보여 주고, 어린이들과 함께 예수 그리스도와 관련된 노래를 한 곡 부른다. 예를 들어 “주 예수를 닮으려고”를 부를 수 있다.(『어린이 노래책』, 40~41쪽) 예수님을 기억하는 것은 선한 선택을 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이야기한다. 그 밖에 우리가 선한 선택을 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에 대한 그림이나 사진을 보여 준다. 부모님이나 경전도 이에 해당한다. 어린이들이 선한 선택을 하는 데 어떤 것들이 도움이 되는지 물어본다.

고린도전서 12:4, 7~12

하나님 아버지께서는 나에게 영적인 은사를 축복으로 주셨어요.

하나님 아버지는 당신의 모든 자녀에게 영적인 은사를 주셨다. 여러분이 가르치는 어린이들에게는 어떤 영적인 은사가 있는가?

활동 아이디어

  • 어린이들에게 지금까지 받았던 선물 중에서 가장 좋아하는 것을 그려 보라고 한다. 하나님 아버지는 우리가 신앙을 강화하고 다른 이를 축복할 수 있도록 영적인 은사를 주신다고 설명한다. 고린도전서 12장 7~11절에 나오는 영적인 은사들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 본다.

  • 교사는 각각의 어린이에게서 발견한 영적인 은사를 한 가지씩 쪽지에 적는다.(또는 부모님에게 이런 쪽지를 써 달라고 부탁할 수도 있다.) 쪽지를 봉투에 넣는다. 어린이들에게 봉투를 열고 자신의 영적 은사에 대해 읽어 보게 한다.

이미지
선물 상자들

하나님 아버지는 당신의 모든 자녀에게 영적인 은사를 주셨다.

고린도전서 13장

나는 다른 사람을 사랑할 수 있어요.

경전은 자애를 “그리스도의 순수한 사랑”이라고 가르친다.(모로나이서 7:47) 어린이들이 그리스도와 같은 사랑을 발전시키고 표현할 수 있도록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까?

활동 아이디어

  • 고린도전서 13장 13절모로나이서 7장 47절을 읽고, 어린이들에게 “자애는 그리스도의 순수한 사랑이에요”라는 문장을 반복해서 말해 보게 한다. 자애롭고 친절한 모습의 예수님 그림을 보여 주면서, 그분이 어떻게 다른 사람에게 사랑을 보이셨는지를 물어본다.(아이디어가 더 필요하면 『복음 그림책』을 참조한다.)

  • 다 함께 “예수님은 누구나 사랑하랬죠”나 “서로 사랑해”처럼 다른 사람을 사랑하는 것에 관한 노래를 부른다.(『어린이 노래책』, 39쪽, 74쪽) 다른 사람(아버지나 어머니, 형제자매, 선생님, 또는 친구)의 사진을 보여 주고, 어린이들이 그 사람을 위해 봉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 보라고 한다. 어린이들에게 그들이 누구에게 봉사할 수 있을지 생각해 보고, 그 사람에게 줄 쪽지를 쓰거나 그림을 그려 보라고 한다.  

이미지
가르치기 아이콘

교리를 가르친다: 나이가 많은 아이들

고린도전서 10:13

하나님 아버지께서는 내가 유혹을 물리치도록 도와주실 것입니다.

이 구절에 담긴 약속은 하나님 아버지의 도움이 있으면 유혹을 물리칠 수 있다는 확신을 어린이들에게 심어 줄 수 있다.

활동 아이디어

  • 어린이들에게 둘씩 짝지어서 고린도전서 10장 13절을 읽고 자신의 말로 요약해 보라고 한다. 하나님 아버지께서 유혹을 피하거나 물리치도록 도와주신 경험이 있으면 이야기해 달라고 한다. 유혹을 느낄 때 하나님 아버지께 의지하기 위해 우리는 어떻게 할 수 있을까?

  • 오늘날 어린이들이 마주칠 법한 유혹들을 여러 개의 쪽지에 적는다. 어린이들에게 각자 쪽지를 하나씩 선택한 후, 하나님 아버지께서는 우리가 그 유혹을 피하거나 물리치도록 돕기 위해 무엇을 주셨는지 이야기해 보자고 한다. 아이디어가 필요하면 앨마서 13장 28~29절을 함께 읽는다.

고린도전서 11:23~29

나는 성찬식에서 내가 구주를 어떻게 따르고 있는지 생각할 것입니다.

성찬은 자신을 “살피고”, 주님을 섬기고 그분의 계명을 지키겠다는 침례 성약을 새롭게 할 기회라는 사실을 어린이들이 이해하도록 도와준다.(고린도전서 11:28)

활동 아이디어

  • 어린이 한 명에게 고린도전서 11장 28절을 읽어 달라고 한다. 성찬을 들기 전에 자신을 “살[핀]”다는 것은 무슨 의미인가? 어린이들에게 의사, 형사, 과학자처럼 무엇인가를 살피는 일을 하는 사람들을 생각해 보라고 한다.(예를 들어, 의사는 우리가 건강한지 확인하기 위해 우리 몸을 살핀다) 우리는 성찬을 취할 때 자신이 침례 성약에 따라 잘 생활하고 있는지를 어떤 방법으로 살필 수 있는가?

  • 어린이들에게 성찬을 취할 때 생각할 수 있는 것들을 목록으로 만들어 보라고 한다. 성찬을 취할 때 이 목록을 참고하여 자기 자신을 살펴보라고 권유한다.

고린도전서 12:4, 7~12, 31; 13:1~8

나에게는 영적인 은사가 있습니다.

바울은 영의 은사가 “각 사람에게” 주어진다고 가르쳤다.(고린도전서 12:7) 이 원리는 특히 어린이들이 다른 사람을 축복하기 위해 자신의 은사를 사용할 때 그들의 자긍심을 쌓는 밑거름이 된다.

활동 아이디어

  • 어린이들에게 고린도전서 12장 7~11절13장 2절에서 영적인 은사들을 찾아 칠판에 적어 보라고 한다. 그 밖에 모로나이서 10장 8~18절교리와 성약 46편 13~26절에서도 은사들을 찾아보자고 한다. 마빈 제이 애쉬튼 장로가 언급한 다음과 같은 영적인 은사들도 들려준다. “질문하는 은사, 귀 기울이는 은사, … 다툼을 피하는 은사, … 의로운 것을 구하는 은사, 심판하지 않는 은사, 하나님께 인도를 구하는 은사, … 다른 사람을 돌보는 은사, … 기도드리는 은사, 강한 간증을 하는 은사.”(“여러 가지 은사”,『리아호나』, 1988년 1월호, 20쪽) 어린이들에게 서로의 영적인 은사를 찾아 이야기해 보게 한다.

  • 수업 전에 부모들에게 자기 자녀가 어떤 은사를 받았다고 생각하는지 물어보거나, 여러분이 직접 그들의 은사가 무엇일지 생각해 본다. 어린이들에게 그 은사들을 말해 준다. 이번 주에 누군가를 축복하기 위해 자신의 은사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한 가지 적어 보자고 한다.

  • 고린도전서 12장 7~10절에 있는 영적인 은사를 사용하여 사람들을 도울 수 있는 여러 가지 상황을 이야기해 준다. 어린이들에게 각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영적 은사들을 찾아보자고 한다.

이미지
배우기 아이콘

가정에서 학습하도록 격려한다

수업 시간에 교사가 이야기한 내용을 가족들과 토론해 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어린이들이 자신의 영적인 은사에 대해 가족에게 이야기하고, 가족들의 은사에 대해서도 물어보도록 권할 수 있다.

더 나은 가르침을 위하여

선택의지를 존중하며 권유한다. 어린이들에게 배운 것을 실천할 수 있도록 권유할 때 그들의 선택의지를 존중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 본다. 구체적인 방법을 직접 권하기보다는 그들이 배운 것을 적용하기 위해 그들 나름대로의 방법을 생각해 보도록 이끌어 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