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서 나를 따르라
5월 18일~24일. 모사이야서 25~28장: “그들은 하나님의 백성이라 일컬어졌더라”


“5월 18일~24일. 모사이야서 25~28장: ‘그들은 하나님의 백성이라 일컬어졌더라’”, 『와서 나를 따르라—초등회: 2020 몰몬경』(2020)

“5월 18일~24일. 모사이야서 25~28장”, 『와서 나를 따르라—초등회: 2020』

이미지
앨마와 모사이야의 아들들에게 나타난 천사

앨마 이세의 개종, 개리 엘 캡

5월 18일~24일

모사이야서 25~28장

“그들은 하나님의 백성이라 일컬어졌더라”

하나님 아버지께서는 반원들이 무엇을 배워야 하며, 그들에게 어떻게 다가가는 것이 좋은지를 잘 아신다. 모사이야서 25~28장을 읽고 본 개요를 살펴보면서 그분께 인도를 구한다.

느낌을 기록한다

이미지
나누기 아이콘

나누도록 권유한다

『와서 나를 따르라—개인 및 가족』 교재의 이번 주 학습 개요에 수록된 그림을 어린이들에게 보여 주고, 그림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을 설명해 보라고 한다. 어린이들이 앨마 이세 및 모사이야의 아들들 이야기에 친숙하다면, 그들이 알고 있는 것들을 이야기해 보게 한다.

이미지
가르치기 아이콘

교리를 가르친다: 나이가 어린 아이들

모사이야서 26:30~31

하나님 아버지는 내가 용서하기를 바라세요.

주님께서는 회개하는 이를 기꺼이 용서하신다고 앨마에게 가르치셨다. 우리는 우리에게 잘못을 저지른 사람들을 용서함으로써 그분의 모범을 따라야 한다.

활동 아이디어

  • 모사이야서 26장 31절에서 “너희도 … 서로 용서하라”라는 구절을 어린이들에게 읽어 준다. 어린이들에게 “너를 용서할게”라는 말을 몇 차례 연습해 보게 하고, 그들이 용서한다는 말의 의미를 아는지 알아본다. 여러분이 용서했거나 용서받았던 경험을 들려준다.

  • 어린이들에게 서로 용서하는 내용으로 역할극을 해 보게 한다. 어린이 한 명에게 자신이 다른 어린이의 기분을 상하게 하는 일을 했다고 가정해 보자고 한다. 상대편 어린이는 그 어린이를 용서하기 위해 어떤 말이나 행동을 할 수 있을까?

  • 어린이들에게 종이 한 쪽에는 행복한 얼굴을, 반대쪽에는 슬픈 얼굴을 그려 보자고 한다. 형제자매나 친구가 자신을 화나게 했던 경험을 이야기할 때는 슬픈 얼굴을 들게 하고, 그들을 어떻게 용서했는지 또는 어떻게 용서할 것인지를 이야기할 때는 행복한 얼굴을 들게 한다.

모사이야서 27:8~37

복음은 사람을 변화시켜서 더욱 예수님과 같이 되도록 도와줘요.

앨마 이세와 모사이야 아들들의 개종 이야기는 예수 그리스도와 그분의 복음을 통해 누구든지 변화하여 더욱 예수님과 같이 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활동 아이디어

  • 모사이야서 27장 8~37절에 나오는 앨마 이세와 모사이야 아들들의 개종 이야기를 간략히 들려준다. “제18장: 앨마 이세가 회개함”(『몰몬경 이야기』, 49~52쪽, 또는 ChurchofJesusChrist.org의 해당 동영상)을 참조한다. 그 이야기를 다시 한번 들려주되, 이번에는 어린이들에게 기억나는 세세한 부분을 말해 보게 한다. 어린이들이 이 이야기를 연극으로 꾸며 보게 한다. 앨마와 모사이야의 아들들이 회개하기 전과 후가 어떻게 달랐는지 그 차이점을 어린이들이 깨닫도록 도와준다.

  • 어린이들이 이번 주 활동 그림을 활용하여 앨마와 모사이야 아들들의 이야기를 전해 보게 한다. 모사이야서 27장 24절을 읽어 주고, 앨마와 모사이야의 아들들은 죄를 회개하고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받아들였기 때문에 변화했음을 어린이들이 이해하도록 돕는다.

    이미지
    아버지의 집으로 옮겨지는 앨마 이세

    그의 아비는 기뻐했으며, 월터 레인

모사이야서 28:1~8

나는 복음을 나눌 수 있어요.

개종한 모사이야의 아들들은 그들의 적인 레이맨인들을 비롯하여 모든 이에게 복음을 전하고자 간절히 바랐다.

활동 아이디어

  • 모사이야서 28장 1~8절을 활용하여, 레이맨인들에게 복음을 전파하기로 결심하는 모사이야 아들들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제19장: 모사이야의 아들들이 선교사가 됨”(『몰몬경 이야기』, 53쪽, 또는 ChurchofJesusChrist.org의 해당 동영상)을 참조한다. 그들은 왜 복음을 나누고자 했는가?(3절 참조)

  • 어린이들에게 각자 복음을 더 알아야 할 필요가 있는 사람을 떠올려 보게 한다. 그런 후, 그들에게 전할 말을 계획해 보게 한다.

  • 다 함께 “나 지금 선교사 되고 싶네”(『어린이 노래책』, 90쪽)처럼 복음을 나누는 것에 관한 노래를 한 곡 부른다. 노랫말에서 우리가 다른 이들과 복음을 나눌 수 있는 방법이 언급된 부분을 짚어 준다.

이미지
가르치기 아이콘

교리를 가르친다: 나이가 많은 아이들

모사이야서 26:22~23, 29~30; 27:8~37

하나님은 회개하는 사람을 기꺼이 용서하십니다.

자신이 정말 용서받을 수 있는지 궁금해하는 어린이가 있다면, 하나님께서 앨마에게 하신 말씀과 앨마 이세의 경험이 도움이 될 것이다.

활동 아이디어

  • 어린이들에게 하나님은 결코 자신을 용서하지 않으시리라고 생각하는 사람과 대화를 나눈다고 상상해 보라고 한다. 모사이야서 26장 22~23절, 29~30절에서 하나님이 앨마에게 하신 말씀을 다시 살펴보게 한다. 어떤 내용이 그 사람에게 도움이 될까?

  • 수업 전에 어린이 한 명에게 모사이야서 27장 8~37절에서 앨마 이세의 개종 이야기를 읽어 보라고 한다. 그런 후, 앨마 이세가 되어 반원들에게 그 이야기를 전할 수 있게 준비해 오도록 부탁해 둔다.(필요하면, 부모님께 도움을 구하라고 한다.) 이 어린이가 이야기를 전하는 동안, “ … 했을 때 어떤 기분이 들었나요?” 또는 “그다음엔 어떤 일이 일어났나요?” 등의 질문을 한다.

  • 모사이야서 27장 8~10절에서 개종하기 전의 앨마와 모사이야의 아들들을 설명하는 말들을 찾아 나열해 보라고 한다. 그런 다음, 모사이야서 27장 32~37절에서 그들이 개종한 후의 모습에 관한 설명을 찾아서 따로 나열해 보자고 한다. 24~29절에 따르면, 앨마는 무엇 때문에 큰 변화를 맞게 되었는가?

모사이야서 26:29~31

용서받기 위해서는 용서해야 합니다.

어린이들이 남을 용서하는 것과 자신이 용서받는 것 사이의 연관성을 깨닫도록 돕는다.

활동 아이디어

  • 어린이들에게 모사이야서 26장 29~31절을 읽고 “용서”라는 단어가 몇 번이나 나오는지 세어 보라고 한다. 우리는 이 성구들을 통해 다른 사람을 용서하는 것에 관하여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용서는 잘못한 사람과 용서하는 사람 모두에게 어떻게 도움이 되는가?

  • 어린이 한 명에게 칠판에 다리를 그리라고 하고, 토마스 에스 몬슨 회장이 인용한 다음 말씀을 읽어 달라고 한다. “다른 사람을 용서하지 못하는 사람은 자신이 천국에 도달하기 위해 반드시 건너야 하는 다리를 때려 부수는 것과 같다. 왜냐하면 모든 사람은 용서받아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조지 허버트, “숨겨진 쐐기”, 『리아호나』, 2002년 7월호, 20쪽에 인용됨) 다리의 일부를 지우고, 어린이들에게 다리를 다시 만들도록 도와 달라고 한다. 어린이들이 다른 사람을 용서할 수 있는 방법을 이야기할 때마다 조금씩 다리를 완성한다. 그들이 용서해야 할 사람을 떠올려 보라고 한다.

모사이야서 27:8~24

나는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을 하나님께서 축복해 주시도록 기도하고 금식할 수 있습니다.

사랑하는 사람들을 위해 기도할 때 금식을 하면 신앙이 강화될 수 있음을 어린이들에게 이해시킬 방법을 생각해 본다.

활동 아이디어

  • 모사이야서 27장 8~24절을 함께 읽고, 앨마와 백성들이 앨마 이세를 돕기 위해 한 일을 알아보자고 한다. 여러분이 누군가를 위해 금식하고 기도했던 경험을 들려주고, 어린이들도 그런 경험을 이야기하도록 격려한다.

  • 어린이들에게 하나님의 도움이 필요한 주변 사람을 생각해 보라고 한다. 어린이들도 하나님께서 그 사람을 축복해 주시리라는 신앙으로 기도하고 금식할 수 있다고 간증한다. 어린이들에게 그 사람을 위해 기도하고, 가능하다면 금식도 해 보도록 권유한다.

이미지
배우기 아이콘

가정에서 배우도록 격려한다

어린이들에게 앨마 이세와 모사이야의 아들들의 경험에서 배운 것 중 가족에게 들려주고 싶은 것 한 가지를 선택해 보라고 한다.

더 나은 가르침을 위하여

부모를 지원한다. “부모는 자녀들에게 가장 중요한 복음 교사이며, 자녀들에게 영향을 미칠 가장 큰 힘과 주요한 책임을 지닌다.(신명기 6:6~7 참조) 교회에서 어린이를 가르칠 때, 부모를 지원할 방법을 기도하는 마음으로 … 찾는다.”(『구주께서 보여 주신 방법으로 가르침』, 25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