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서 나를 따르라
5월 25일~31일. 모사이야서 29장~앨마서 4장: “그들은 확고부동하[였으며]”


“5월 25일~31일. 모사이야서 29장~앨마서 4장: ‘그들은 확고부동하[였으며]’”, 『와서 나를 따르라—초등회: 2020 몰몬경』(2020)

“5월 25일~31일. 모사이야서 29장~앨마서 4장”, 『와서 나를 따르라—초등회: 2020』

이미지
설교하는 앨마 이세

설교하는 앨마 이세, 게리 엘 캡

5월 25일~31일

모사이야서 29장~앨마서 4장

“그들은 확고부동하[였으며]”

여러분이 가르치는 어린이들은 공과 시간에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다. 그러나 가정에서 경전을 공부하는 습관을 기른다면 그들은 더 많은 것을 배우게 될 것이다.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복음 학습을 장려하고 뒷받침할 방법을 생각해 본다.

느낌을 기록한다

이미지
나누기 아이콘

나누도록 권유한다

어린이들에게 바닥에 원을 지어 앉으라고 하고, 그중 한 명에게 공을 굴려 보낸다. 공을 받은 어린이에게 최근에 가정이나 초등회에서 복음에 관해 배운 것을 이야기해 달라고 한다. 그런 다음, 그 어린이가 다른 어린이에게 공을 굴려 보내게 한다. 모든 어린이에게 차례가 돌아갈 때까지 이 활동을 계속한다.

이미지
가르치기 아이콘

교리를 가르친다: 나이가 어린 아이들

앨마서 1:2~9, 26~30

교회 회원인 나는 다른 사람을 사랑하고 섬겨야 해요.

여러분은 니허의 가르침을 자세히 언급하지 않으려고 계획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우리가 교회에서 봉사하는 이유는 다른 사람을 사랑하기 때문이지 부나 인기를 얻기 위해서가 아님을 어린이들이 알면 유익할 것이다.

활동 아이디어

  • 앨마와 니허의 이야기를 쉬운 말로 풀어서 어린이들에게 들려준다.(앨마서 1장 참조; “제20장: 앨마와 니허”, 『몰몬경 이야기』 54~55쪽, 또는 ChurchofJesusChrist.org의 해당 동영상 참조) 니허를 따르는 사람들은 교회 회원들을 불친절하게 대했으나 많은 교회 회원들은 변함없이 친절과 사랑을 베풀었다는 점을 강조한다.

  • 앨마서 1장 30절을 읽어 주고, 교회의 회원들은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그들이 가진 것을 나누어 주었음을 어린이들이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어린이들에게 누구와 무엇을 나눌지 생각해 보라고 한다. 그런 후 그 계획을 그림으로 그려 보게 한다.

  • 내가 먼저 친절하렵니다”(『어린이 노래책』 83쪽)처럼 사랑과 봉사에 관한 노래를 함께 부르고, 어린이들이 노래와 어울리는 율동을 생각해 보도록 도와준다.

앨마서 2:28~30

하나님은 내 기도에 응답하실 거예요.

앨마와 니파이인들은 “많은 두려움”(앨마서 2:23)을 느낄 때 도움을 간구하여 큰 힘을 얻었다. 어린이들이 그들의 모범에서 배우도록 돕는다.

활동 아이디어

  • 『와서 나를 따르라—개인 및 가족』 교재의 이번 주 학습 개요 또는 “제21장: 애믈리싸이인”(『몰몬경 이야기』 56~57쪽, 또는 ChurchofJesusChrist.org의 해당 동영상)에 수록된 그림들을 활용하여 니파이인들이 어떻게 애믈리싸이인을 물리칠 힘을 얻었는지 이야기해 준다. 어린이들이 무서워하거나 힘들어하는 것을 물어보고, 그런 것에 대해 하나님 아버지께 기도로 도움을 간구할 수 있다고 간증한다.

  • 하나님께 기도하여 도움을 받았던 여러분의 경험을 이야기해 준다. 기도와 관련하여 어린이들이 경험한 일도 이야기해 달라고 한다.

앨마서 4:19

내 간증은 다른 사람들에게 힘을 줄 수 있어요.

많은 경우, 어린이의 “순수한 간증”은(앨마서 4:19) 사람들에게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어린이들이 간증을 전할 방법을 찾도록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까?

활동 아이디어

  • 앨마서 4장 19절을 펴고, 앨마는 사람들의 사악한 모습을 보면서 그들을 돕는 최선의 방법은 “순수한 간증”을 전하는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고 설명한다. 이번 주 활동 그림을 활용하여, 간증이란 무엇이며 어떤 것이 간증에 해당하는지를 가르친다. 어린이들이 간증을 나눌 수 있도록 격려한다.

  • 투명한 유리컵에 물을 붓는다. 그런 다음, 이 물은 다른 사람과 나눌 수 있으므로 이것은 우리의 간증을 상징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컵에 든 물을 작은 컵에 담아 어린이들에게 각각 나누어 주고, 우리는 간증을 나눔으로써 다른 사람의 간증이 커지도록 돕게 된다고 말한다.

  • 어린이들이 원한다면 간증하는 연습을 해 보게 한다. 행동으로 나타내는 것을 포함하여, 어린이들이 복음이 참됨을 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을 몇 가지 제안한다.

이미지
가르치기 아이콘

교리를 가르친다: 나이가 많은 아이들

앨마서 1:2~9

나는 거짓 가르침을 분별하는 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누구나 살다보면 니허와 같은 사람과 마주칠 때가 있다. 그런 사람들은 솔깃하지만 거짓되고 해로운 메시지로 우리를 속이려고 한다. 앨마서 1장 2~9절의 이야기를 나눔으로써 어린이들이 앞으로 그러한 순간이 올 때를 대비해 준비할 수 있도록 돕는다.

활동 아이디어

  • 어린이들에게 앨마서 1장 2~4절을 읽으면서 거짓 교사인 니허가 가르친 내용을 살펴보게 한다. 어린이들이 이 성구의 표현을 사용하여 참-거짓 퀴즈를 만들어 보도록 도와준다. 때로 사탄이 거짓과 진리를 섞는 이유는 무엇인가? 어린이들이 몇 가지 예를 생각해 볼 수 있게 도와준다.

  • 앨마서 1장 2~9절을 함께 살펴본 후, 각 어린이에게 다음 성구들을 하나씩 읽어 보라고 한다. 마태복음 7:21~23; 니파이후서 26:29~31; 모사이야서 18:24~26; 힐라맨서 12:23~26. 이 성구들은 니허의 가르침을 어떻게 반박하는가? 우리는 복음에 대한 간증을 강화하기 위해 경전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앨마서 1:26~30; 4:6~13

교회 회원으로서 나는 다른 사람을 사랑하고 섬겨야 합니다.

앨마 시대의 교회 회원들은 관대하고 너그러울 때도 있었으나 불친절하고 교만할 때도 있었다. 어린이들이 그들의 경험에서 배우도록 도와준다.

활동 아이디어

  • 어린이들이 앨마서 4장 6~13절을 읽고 “조소”, “핍박”, “멸시” 등의 낱말을 정의하도록 도와준다.(필요하면 사전을 찾아본다.) 다른 사람들이 우리를 그런 식으로 대하면 어떤 기분이 드는가? 우리가 서로를 대하는 방식에 관하여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바를 묘사한 말들을 앨마서 1장 26~30절에서 찾아보게 한다.

  • 어린이들에게 앨마서 1장 27절과 30절을 읽고 교회 회원들이 도왔던 사람들의 유형을 목록으로 만들어 보라고 한다. 이웃이나 학교에서 그들의 사랑과 도움이 “필요한”(앨마서 1:30) 사람들을 떠올려 보라고 한다. 이 원리를 더 깊이 가르치기 위해, 다 함께 “너와 걷고”처럼(『어린이 노래책』 78쪽) 친절에 관한 노래를 부른다.

앨마서 4:8~20

나의 간증은 사람들에게 힘을 줄 수 있습니다.

앨마는 간증을 나누고 백성들의 회개를 돕는 데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기 위해 대판사직을 내려놓았다. 어린이들은 그의 모범을 통해 더 자주 간증을 나누겠다는 영감을 받을 수 있다.

활동 아이디어

  • 어린이들과 함께 앨마서 4장 8~12절과 15절을 읽고, 이 구절에 설명된 당시 교회의 문제점을 찾아보게 한다. 어린이들에게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앨마가 어떤 일을 할 수 있었을지 이야기해 보라고 한다. 앨마서 4장 16~20절에서 앨마가 어떻게 하기로 했는지 찾아내도록 어린이들을 도와준다. 간증에는 왜 강력한 힘이 있는가?

  • 어린이들이 간증이란 무엇이고 무엇이 간증에 해당하는지 이해할 수 있도록 “간증”(『찬송가』 58장)과 같이 이 주제에 관한 노래를 부르거나 이번 주 활동 그림을 활용한다. 어린이들에게 이 활동에서 간증에 관해 배운 것을 이야기해 보라고 한다.

이미지
배우기 아이콘

가정에서 배우도록 격려한다

어린이들에게 다음 주에 자신이 간증을 전할 수 있는 사람을 생각해 보라고 한다.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을 적어 보라고 격려한다.

더 나은 가르침을 위하여

간증하도록 이끄는 질문을 한다. “학습자들이 배운 원리에 대해 간증을 하도록 권장하는 질문을 하는 것은 영을 초대하는 강력한 방법이 될 수 있다.”(『구주께서 보여 주신 방법으로 가르침』 32쪽) 어린이들에게 간증을 나누도록 권유하기 위해, 구주 또는 그분의 복음에 관해 생각하게 하거나 그에 관한 그들의 느낌을 이야기하도록 이끌어 주는 질문을 한다. 또한, 기도나 봉사, 또는 침례식 등의 의식과 관련된 경험이나 성신의 영향력을 느꼈던 경험을 물어볼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