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 교육원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신앙을 가지고 질문함


“제3과: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신앙을 가지고 질문함”, 『나의 복음 질문에 대한 답을 찾음 교사 자료』(2022)

“제3과: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신앙을 가지고 질문함”, 『나의 복음 질문에 대한 답을 찾음 교사 자료』

이미지
경전을 숙고하는 청남

제3과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신앙을 가지고 질문함

학생들은 여러 가지 질문이 있다. 그러한 질문들은 직설적인 것도 있고, 민감한 주제에 관한 것도 있으며, 또 모호하고 복잡한 것도 있다. 어떤 학생들은 자신이 생각하는 질문을 하는 것에 대해 불안을 느끼기도 하며, 그러한 질문을 어떻게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을지 잘 모르는 경우도 있다. 이번 과에서 학생들은 질문의 중요성에 관해 토론하고, 모호한 질문을 다루는 방법을 생각해 보고,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신앙의 관점으로 질문을 구성하는 법을 연습할 것이다.

교수 제언

우리의 가르침과 학습을 향상한다

구주께 집중한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이 토론하기를 바라는 교리적, 사회적, 역사적 질문이 어떤 것이든, 그들이 선택한 주제가 어떻게 구주와 그분의 복음에 연관되는지 깊이 생각해 보라고 권유한다. 학생들이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신앙의 관점에서 토론을 구성하도록 돕는다. 세미나리 및 종교 교육원 교육감인 채드 에이치 웹은 교사들에게 다음과 같이 말했다. “저는 우리가 자라나는 세대의 신앙을 키우도록 돕는 단 하나의 가장 중요한 방법은 학생들을 도와 그들이 구주를 알게 되고, 그분에게서 배우며, 의식적으로 그분을 닮아가려 애쓰도록 하면서 우리 가르침과 학습의 중심을 더욱 온전히 예수 그리스도께 두는 것임을 이해하고 믿게 되었습니다.”(“우리는 그리스도에 대하여 이야기하며 그리스도 안에서 기뻐하며”[세미나리 및 종교 교육원 연례 훈련 방송, 2018년 6월 12일], ChurchofJesusChrist.org)

마이크로 트레이닝을 통해 배우고 토론하는 기술을 발전시킴

학생들에게 이 과정을 공부하는 동안 교회의 교리, 가르침, 정책, 역사에 관한 주제를 배우고 토론하는 능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되는 마이크로 트레이닝에 참여할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한다. 마이크로 트레이닝에서 기술 하나를 선택하여 학생들과 함께 트레이닝을 완수한다.

신앙을 지니고 질문함

학생들에게 오늘은 복음 학습에서 질문의 역할을 탐구할 것이라고 말해 준다. 다음 문장들을 보여 주고 학생들에게 다음 중 하나를 사용하여 각각의 문장에 어떻게 대답할지 생각해 보라고 한다. (1)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 (2) 동의하지 않는다. (3) 동의하는 것도, 동의하지 않는 것도 아니다. (4) 동의한다. (5) 매우 동의한다. 학생들에게 이 문장들을 바탕으로 그룹 토론이 있을 것이라고 알려 준다.

  1. 교회의 교리, 가르침, 정책, 역사에 관해 질문하는 것은 부적절하다.

  2. 교회의 교리, 가르침, 정책, 역사에 관한 질문에는 언제나 단순하고 간단한 답이 있다.

  3. 하나님에 대한 신앙이 있느냐의 여부는 우리가 도덕성의 의미와 인생의 목적에 관한 질문에 접근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학생들 각자가 가장 토론하고 싶은 문장에 따라 소그룹을 만들게 한다.(다루어지지 않는 문장이 없게 한다.) 각 그룹에 알맞은 유인물을 준다. 학생들에게 유인물에 있는 자료와 질문을 바탕으로 토론하라고 한다.

문장 1: 교회의 교리, 가르침, 정책, 역사에 관한 질문을 하는 것은 부적절하다.

『나의 복음 질문에 대한 답을 찾음』—제3과

문장 1이 얼마나 타당한지를 그룹과 함께 토론한다. 조셉 스미스—역사 1장 10~13절을 읽고, 질문하는 것이 어떻게 조셉 스미스의 삶을 바꾸었는지를 토론한다. 그런 후 교회 지도자들의 다음 말씀들을 읽는다.

이미지
디이터 에프 우흐트도르프 회장

간증은 질문에서 비롯됩니다. 복음에 관해 탐색하는 질문이 있다 해서 쑥스러워하거나 부족하다고 느끼는 분이 있을 수도 있지만, 그렇게 느낄 필요는 없습니다. 질문하는 것은 나약함의 표시가 아니라 성장을 위한 예비 단계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에게 우리가 가진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보라고 명하셨으며, “그리스도를 믿는 신앙을 가지고, 진정한 의도를 지니며, 진실한 마음으로”만[모로나이서 10:4] 그렇게 하라고 요구하십니다. 우리가 그렇게 할 때, 모든 것에 관한 진리가 “성신의 권능으로”[모로나이서 10:5] 우리에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두려워하지 말고 질문하십시오. 호기심은 갖되 의심하지는 마십시오! 여러분이 이미 받아들인 신앙과 빛을 언제나 꼭 붙드십시오.(디이터 에프 우흐트도르프, “물에 비친 그림자”, 청년 성인을 위한 교회 교육 기구 영적 모임, 2009년 11월 1일)

이미지
러셀 엠 넬슨 회장

여러분의 질문들을 주님께, 그리고 다른 충실한 이들에게 가져가십시오. 믿고자 하는 열망을 품고 공부하십시오. 선지자의 삶 전체에서 단 한 개의 흠이라도 찾아내겠다거나, 경전에서 단 하나의 모순점이라도 찾아내겠다는 마음으로 공부하지는 마십시오. 의심에 빠진 다른 이들과 그 일을 되풀이하며 의심을 키우는 일은 그만두십시오. 영적인 발견의 여정에서 주님께서 여러분을 이끄시게 하십시오.(러셀 엠 넬슨, “그리스도가 살아나셨으므로, 그분을 믿는 신앙은 산을 옮길 것입니다”, 『리아호나』, 2021년 5월호, 103쪽)

이미지
로렌스 이 코브리지 장로

세상에는 주요 질문과 부차적인 질문이 있습니다. 먼저 주요 질문에 답하십시오. 모든 질문이 동등하지 않으며, 모든 진리가 동등한 것도 아닙니다. 주요 질문이 가장 중요합니다. 다른 모든 것들은 부차적인 것입니다. 주요 질문은 몇 가지뿐입니다. 그중 네 가지를 말씀드리겠습니다.

  1. 우리의 아버지이신 하나님은 계시는가?

  2. 예수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아들이며 세상의 구주이신가?

  3. 조셉 스미스는 선지자였는가?

  4.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는 지상에 있는 하나님의 왕국인가?

이와 대조적으로, 부차적인 질문에는 끝이 없습니다. …

주요 질문에 답한다면, 여러분은 부차적인 질문에 대한 답도 찾게 되거나 아니면 그러한 부차적인 질문이 여러분에게 대수롭지 않은 것이 될 것입니다. 그러면 여러분은 자신이 속한 곳을 떠나거나 자신의 의무를 저버리지 않고도 자신이 이해하는 것과 이해하지 못하는 것, 동의하는 것과 동의하지 않는 것들에 대처할 수 있게 됩니다.(Lawrence E. Corbridge, “Stand Forever” [Brigham Young University devotional, Jan. 22, 2019], speeches.byu.edu)

다음 질문들에 대해 토론한다.

  • 주님은 우리가 질문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느끼시는가? 주님께 질문을 여쭐 때 우리는 그분에게서 무엇을 받을 수 있는가?  

  • 신앙을 가지고 하는 질문과 의심을 품고 하는 질문의 차이점은 무엇인가?(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 신앙을 가지고 한 질문의 예로 앨마서 22장 4~12절을, 의심을 품고 한 질문의 예로 앨마서 11장 21~22절, 26~35절을 읽어 볼 수 있다.)

  • 주요 질문과 부차적인 질문의 차이를 인식하는 것은 왜 중요한가? 우리가 주요 질문을 무시하고 부차적인 질문에만 집중한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 수 있는가?

  • 질문에 대한 답을 주님께 여쭈고, 또한 다른 충실한 사람들과 신앙을 키워 주는 출처에서 그 답을 찾는 것은 어떤 면에서 여러분의 삶에서 배움과 성장을 증진했는가?

이 토론에서 배운 것을 바탕으로 문장 1을 수정하여 적어 본다. 수정한 문장 및 배운 것들을 반원들에게 나눌 준비를 한다.

문장 1: 교회의 교리, 가르침, 정책, 역사에 관한 질문을 하는 것은 부적절하다.

이미지
교사 유인물

문장 2: 교회의 교리, 가르침, 정책, 역사에 관한 질문에는 언제나 단순하고 간단한 답이 있다.

『나의 복음 질문에 대한 답을 찾음』—제3과

그룹과 함께 문장 2가 얼마나 타당한지를 토론한다. 니파이전서 11장 14~17절을 읽고, 영의 질문에 대한 니파이의 대답이 지니는 중요성에 관해 토론한다. 그런 후 다음 말씀을 읽는다.

이미지
브루스 시 하펜 장로 및 메리 케이 하펜 자매

회복된 복음의 근본적인 가르침은 강력하고, 명확하며, 모호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경전에도 모호한 부분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테면, 매우 중요한 영적인 기록을 얻기 위해 라반을 죽이라는 명령을 받았던 니파이의 이야기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그 상황에는 분명하지 않은 점이 가득합니다. …

삶 또한 모호함으로 가득하며 이상과 현실 사이의 차이를 감당하는 법을 배우는 것은 필멸의 계획의 목적 중 하나입니다. 신성한 계획에 따라 우리는 모두 “모든 것에 반대되는 것”(니파이후서 2:11)을 경험합니다. …

… 우리의 영적인 발전에서 중요한 단계를 차지하는 모호함을 인식하는 능력은 깨우침의 최종 형태가 아니라 그저 시작일 뿐입니다. …

[확실성과] 불확실성 사이의 간극에 대한 최선의 대응은 계속해서 성장하는 것입니다. …

처음으로 복잡한 문제를 마주하고 놀라게 될 때, 우리는 자라나는 신앙의 씨앗을 큰 관심을 가지고 보살펴서, 뜨겁게 타오르는 태양 아래 그 어린 나무가 시들어 버리지 않게 해야 합니다. (Bruce C. Hafen and Marie K. Hafen, Faith Is Not Blind [2018], 9–10, 13–14, 18)

이미지
셰리 엘 듀 자매

신앙으로 배우는 것은 연구를 통해 배우는 것만큼이나 중요합니다. 이는 우리가 책에서 배울 수 없는 것들도 있기 때문입니다.

댈린 에이치 옥스 장로님은 이 진리를 강조하셨습니다. “우리가 모든 자료를 출판한 후에도 회원들은 때로 학습으로는 풀 수 없는 기본적인 질문들에 봉착하게 됩니다. … 어떤 것은 오직 신앙으로만 배울 수 있습니다.[교리와 성약 88:118 참조] 우리가 궁극적으로 의지해야 하는 것은 성신을 통해 받은 증거에 대한 신앙입니다.”[“모든 것에 반대되는 것이 있으니”, 『리아호나』, 2016년 5월호,117쪽] …

… 질문이 생길 때 … 그것은 여러분에게 간증이 없다거나 복음이 참되지 않다는 뜻이 아닙니다. 그것은 여러분에게 주어진, 영적으로 성장하라는 권유입니다. …

… 질문, 특히 어려운 질문은 우리가 영적인 씨름을 하도록 이끌어 주님께서 우리를 인도하실 수 있게 합니다. …

영적으로 성장하고 우리가 지닌 질문에 대한 답을 얻는 것은 영의 속삭임을 느끼고, 듣고, 이해하는 우리의 능력에 달려 있습니다. 배움을 얻고 개인적인 계시를 받기 위해 영적인 씨름을 하는 것은 가치 있는 일입니다. 우리는 영이 우리의 마음과 생각에 증거하실 때에만 무엇이 참된지를 알 수 있으며, 이것은 성신만이 할 수 있는 일이기 때문입니다.(Sheri Dew, “Will You Engage in the Wrestle? [Brigham Young University–Idaho devotional, May 17, 2016], byui.edu)

다음 질문들에 대해 토론한다.

  • 교회의 교리, 가르침, 정책, 역사에 관한 우리의 질문 중 어떤 것은 모호하고, 불확실하고, 복잡할 수 있음을 깨닫는 것은 왜 중요한가?

  • 하펜 장로 부부와 듀 자매에 따르면 복음이나 삶에 대한 질문 중 모호함과 복잡함으로 이어질 수 있는 질문에 대응하는 생산적인 방식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 여러분이 모호함이나 불확실함 또는 복잡함을 마주했을 때, 예수 그리스도와 그분의 복음을 믿는 여러분의 신앙에 계속 충실하게 남는 데 가장 도움이 되었던 것은 무엇인가?

이번 토론에서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문장 2를 수정하여 적어 본다. 수정한 문장 및 배운 것들을 반원들에게 나눌 준비를 한다.

문장 2: 교회의 교리, 가르침, 정책, 역사에 관한 질문에는 언제나 단순하고 간단한 답이 있다.

이미지
교사 유인물 2

문장 3: 하나님에 대한 신앙이 있느냐의 여부는 우리가 도덕성의 의미와 인생의 목적에 관한 질문에 접근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나의 복음 질문에 대한 답을 찾음』—제3과

그룹과 함께 문장 3이 얼마나 타당한지를 토론한다. 앨마서 30장 12~18절을 읽고 코리호어의 믿음이 도덕성과 삶의 목적에 대한 그의 관점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토론한다. 그런 후 다음 말씀들을 읽는다.

이미지
브루스 시 하펜 장로 및 메리 케이 하펜 자매

믿음의 행위는 보는 이들의 마음에서 비롯됩니다. 구주께서는 주위에 있던 이들에게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들을 귀 있는 자는 들을지어다”(누가복음 8:8) …

리하이의 네 아들은 모두 훌륭한 부모에게서 태어났습니다. 믿는 이들에게 일어난 사건은 크게 다르지 않았지만, 일어난 일에 대한 그들의 태도는 달랐습니다. 태도는 그들의 마음에서 기인했으며, 각 사람의 태도는 그 사람으로 하여금 믿거나 믿지 않기로 자유롭게 선택하게 했습니다. …

… [하나님께서는] 우리가 자발적으로 그분을 믿고, 그분을 받아들이고, 그분을 찾기를 선택할지 선택하지 않을지를 통제하실 수 없으십니다. 그분은 우리에게 손을 내미실 수 있으실 뿐이며, 우리가 손을 잡기를 선택한다면, 그분은 우리가 성장하기 위해 저마다 필요로 하는 것을 향해 우리를 인도하실 것입니다.(Bruce C. Hafen and Marie K. Hafen, Faith Is Not Blind [2018], 81, 88)

이미지
댈린 에이치 옥스 회장

“도덕적 상대주의”는 이 시대에 팽배하는 강력하고 영향력 있는 사조로, 절대적으로 옳거나 그릇된 것은 없다는 사상입니다. 이 사상의 밑바닥에 깔린 전제는 하나님이 없다는 것이거나, 만일 하나님이 계시다 하더라도 오늘날 우리에게 적용될 계명을 주시지 않았는다는 것입니다. …

후기 성도는 확연히 다른 전제로 시작합니다. 하나님은 계시며, 영원한 율법의 근원이 되시고, 많은 선택 가운데 옳고 그름을 확립하도록 계명을 주셨습니다. … 우리는 도덕적 상대주의를 배격하며, 우리 청소년들이 이 사조의 거짓된 전제에서 나온 추론 및 결론에 속거나 설득되지 않도록 도와야 합니다.

다양한 제안이 진실인지 또는 용인할 수 있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데 근간이 될 전제는 어디에서 찾을 수 있습니까? 우리는 경전과 현대 선지자들의 가르침에 담긴 하나님의 말씀을 토대로 삼습니다. 이러한 진리를 대전제 및 가정의 토대로 삼지 않는다면, 우리의 결론이 참된지 확신할 수 없습니다.(댈린 에이치 옥스, “대저 그 마음의 생각이 어떠하면”[총관리 역원과 함께하는 저녁 모임, 2013년 2월 8일])

(주: 전제란 여러분의 관점의 시작점 또는 기초를 의미한다. 가정이란 참되다고 전제하지만 참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이다)

다음 질문들에 대해 토론한다.

  • 우리의 전제(시작점)는 우리가 질문에 답하는 방식에 왜 그토록 큰 차이를 가져오는가?

  • 우리가 하나님을 믿는 신앙을 기본 전제로 삼아 질문을 재구성하면 어떤 차이가 생기는가?

  • 하나님을 믿는 것은 선택의 문제라는 것을 이해하는 것은 왜 중요한가?

이 토론에서 여러분이 배운 것을 바탕으로 문장 3을 수정하여 적어 본다. 수정한 문장 및 배운 것들을 반원들에게 나눌 준비를 한다.

문장 3: 하나님에 대한 신앙이 있느냐의 여부는 우리가 도덕성의 의미와 인생의 목적에 관한 질문에 접근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이미지
교사 유인물 3

토론할 시간을 충분히 준 후, 그룹별로 한 학생이 나와서 자신의 그룹이 수정한 문장을 칠판에 적어 보라고 할 수 있다. 이 문장은 다음과 같이 수정되었을 수 있다.

  1. 교회의 교리, 가르침, 정책, 역사에 관해 신앙에 기초한 질문을 하는 것은 적절할 뿐 아니라 아마도 우리의 영적 발전에 필수적일 것이다.

  2. 교회의 교리, 가르침, 정책, 역사에 관한 질문에는 언제나 단순하고 간단한 답이 있는 것이 아니다.

  3. 하나님에 대한 신앙이 있느냐의 여부는 우리가 도덕성의 의미와 인생의 목적에 관한 질문에 접근하는 방식에 실제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학생들에게 자신이 수정한 문장과 토론에서 배운 것들을 설명할 시간을 준다. 학생들이 자신이 통찰한 것들을 나누는 동안, 신앙을 가지고 질문하고 대답하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더 잘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추가 질문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음 중 하나 이상의 질문을 할 수 있다.

  • 이 통찰은 우리가 신앙을 가지고 질문하는 것이 무슨 의미인지 더 잘 이해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는가?

  • 여러분의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 있을 때 이 통찰이 도움이 되었던 경험을 언제 해 보았는가?

학생들에게 다음 수업을 위한 준비로 교회의 교리, 가르침, 정책, 또는 역사에 관한 질문을 적도록 권유했음을 상기시킨다. 오늘 배운 내용을 통해 자신의 질문을 바라보는 관점이 바뀐 학생이 있는지 묻고, 자신이 깨달은 바를 이야기해 줄 사람이 있으면 이야기해 달라고 한다.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신앙의 관점에서 질문하는 것에 대하여 여러분의 경험과 간증을 나누고 수업을 마칠 수 있다.

다음 수업을 위한 제언

다음 수업에서는 은혜라는 신성한 은사에 관해 토론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한다. 학생들에게 한 주 동안 시간을 내어 복음 자료실에서 은혜라는 신성한 은사에 관해 무엇을 배울 수 있는지 찾아보라고 권유한다.